검색 상세

특성화고의 역사교육과 주제학습 지도방안 : 서울 A고 사례

초록/요약 도움말

국문초록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역사는 어렵고 지루한 과목이며 일상생활과는 전혀 관계없는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2009 교육과정으로 학교급별 계열성이 무너지고, 역사교과의 위상이 다시 위축되면서 더욱 심각해졌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고 당연히 배워야 한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역사수업에 있어서는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역사교육이 학생들에게 다가서기 위해서는 시대적 흐름과 개인적인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21세기는 지식이 폭발적으로 양산되고, 빠르게 변화되는 속에서 수용한 정보에 대한 판단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개인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 학습과제를 선정하고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주제학습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 수업사례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서울 소재 특성화고인 A고에서 주제학습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이 현실에서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탐구활동을 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의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를 중심주제로 선택하여 교사가 보조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수업을 같이 진행함으로써 내용을 심화시키고 학생들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제학습은 통사수업과 병행하여 진행하였으며 결과물을 공유하고 심화학습을 위해 3차시의 수업을 별도로 편성하였다. 학생들은 주제학습과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에서 76퍼센트의 높은 비율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고 주제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와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또한 모둠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서로 의견을 나눔으로써 다양한 생각들을 알고, 의견 조율을 통해 보다 서로 소통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친구와의 우정과 협동심까지도 느끼게 되었다. 학생들의 활동과 더불어 교사가 제시한 사료의 제시와 학생활동지를 병행함으로써 좀 더 심화된 주제학습을 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잘 이해하고 기억을 하였다. 다만 3차시에 걸쳐서 발표와 활동지까지 함께 하는 데에는 학생들이 다소 부담을 느꼈다. 주제학습이 단지 자료를 찾고 탐구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발표라는 형식을 갖춤으로써 학생들이 더욱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곧 사회에 진출할 학생들에게 발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생활을 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주제학습을 실시한 대상은 3개 학급으로 A고에서 학습수행능력이 중위권인 2반과 상위권에 속하는 1반이었기 때문에 학습수행능력이 현저히 낮은 학생들에게 본 수업사례를 적용하는 데는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수업사례를 학습수행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교사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교사가 다양한 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제학습을 하면서 수업조직 형태를 주로 모둠별로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이 매번 책상을 옮겨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교과교실이 있어 자료를 찾거나 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환경, 즉 컴퓨터나 도서, 시청각 시설이 구비되어 있으면 학생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 역사수업이 좀 더 활기차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실이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시간도 블록타임제를 실시한다면 주제학습이 토론수업, 탐구식 수업, 역할극 수업 등 학생활동 중심의 다양한 수업 활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교사가 다양한 수업을 실시하고 주제학습과 같이 교수내용을 선정하려면 교사의 교과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나 교과관련 전문 연수가 별로 개설되어 있지 않고 학기 중에 주로 개설되어 교사들이 연수 받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역사의 최근 동향을 알 수 있는 심화된 내용의 연수와 교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수가 개설될 필요가 있으며 개설 시기도 방학 중에 많이 개설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subject, history, has been perceived as difficult and dull to many students, irrelevant to their high concern for historical matters and clear awareness of its necessity. To close this gap, history education ought to reflect the demands of both individuals and the times. In 21st century, where massive amount of knowledge is produced and disappears in short period of time, one must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cquired information is valid or not. This is why self-dominated learning ability is essential for students. Therefore, I case studied theme based lesson in high school, as theme based lesson, in which students choose their own learning topics and initiate self-dominated learning, can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 conducted theme based lesson in ‘A’ high school in Seoul and analyzed the results. Students were allowed to choose the topics that are of their interests in real life and to do research on the chosen topic. The topic that most students find interesting was chosen as a main topic and the teacher gave a lectured on the main topic while providing them with additional learning material to deepen the content area. The change occurred to students during the process were to be analyzed. Theme-based learning was paralleled with traditional chronologically ordered history lessons. To share and intensify what they have learned, 3 additional classes were scheduled. Students gave positive marks to theme-based learning up to 76%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lectures. Students found theme-based learning more interesting and helpful in promoting self-dominated learning. Furthermore, through group activities, students were able to share and discuss opinions and communicate more easily, this developed into better friendship and cooperative spirits. The teacher supervised overall process of students’ activities and provided them with elaborated historical materials, which helped student learn more effectively. Theme-based learning goes beyond simply searching for historical materials; students had to present their leaning to others. This solidifi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further and their presentation skills, which will be of importance in their future career, has also developed during the process.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apply the result to students whose learning ability is below average a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two classes in ‘A’ high school, that consist of students who has normal or higher learning abilitie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eacher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more help when applying this to students who are in lower academic level. Subject-classroom equipped with books, computers and audio-video aids, where students can access to materials more easily, appear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Blocked time-allotment would also enable theme-based learning in various forms such as debating, researching and role-playing. For the teacher, a great deal of expertise are required to conduct theme-based learning and to decide the content of lessons. Teachers must be updated with latest trends in the academic field and have acquired various teaching methods, so it seems necessary that diverse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develop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