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의 국어과 전문성 확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초록/요약 도움말

본 논문은 도구교과로서의 국어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언어’가 교육 내용의 기반을 이루어야 한다고 보고, 이에 따라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의 국어과 전문성 확보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교과 생태 내 국어과의 역할은 맥락에 적절하게 텍스트를 수용·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한 ‘언어’는 텍스트 수용·생산의 도구로서 생산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매체 언어 교육은 이러한 언어관을 바탕으로 최근 국어과에 유입된 것으로서, 소통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어과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으므로 그 교육 내용이 국어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국어과 매체 언어 교육의 성립 토대를 살펴 매체 언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확인해 보았다. 매체 문식성을 강조하고 있는 매체 교육은 국어과의 중핵이라 할 수 있는 ‘언어’를 기호적 차원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매체 언어’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어과에서는 ‘매체 언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매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어과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문식성’의 확대는 매체 언어 교육이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특히, 기호적 차원으로 확장된 언어는 매체 문식성이 범교과적 측면을 가진다는 점에서 국어과 전문성 확보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양상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매체 텍스트 의미 생산에 기여하는 지식’, ‘매체 텍스트 수용·생산을 강조하는 기능’, ‘매체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태도’와 관련된 성취 기준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 차원으로 구현된 교육 내용에서는 지식 차원에서 매체 텍스트 의미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텍스트와 연계된 언어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또한 기능 차원에서 매체 텍스트 수용·생산 전략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수용·생산의 방법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태도 차원에서도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언어적 기반이 부족하여 그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함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고는 국어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를 ‘언어적 지식 교육’, ‘언어를 기반으로 한 기능 교육’, ‘비판적 언어 인식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언어를 중심으로 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기능 중심의 교육 내용’, ‘태도 중심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교육 내용은 매체 언어 교육이 국어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언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이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향후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매체 언어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매체 언어 교육은 국어과의 외연을 확장함과 동시에 교육 내용의 심화를 꾀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국어과의 미래상을 설계한다는 측면에서 또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finds ways to have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by examining media literacy education contents so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dentity as an instrumental subject. Language focusing on its meaning and function should be the basi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ecause language plays an crucial role as a productive tool whe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text. On the other hand, medi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language focusing on its meaning and function is paid attention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akes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and its domain. Consequently, what is needed to be examined is if media literacy education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language. Media literacy education is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ason is as follow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sts of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s signifying mode, in turn, literacy education means communication channels, which makes media literacy education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what was previously stated,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Considering the current curriculum, it is revealed that linguistic knowledge, function for multimodal text, and critical attitude are emphasized. However, on the aspect of textbooks, what is lack is these two. One is linguistic knowledge which contributes to having critical attitude when understanding the given texts. The other is strategies for function. On the other hand, as previously stated, linguistic knowledge functions as a productive, and crucial tool. Consequently, for the sake of establishing language-specific contents, the linguistic knowledge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This article designs media literacy education contents having language-specific contents. Starting with the goal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linguistic knowledge education, function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knowledge, and critical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are suggested. Additionally, these three contents are suggested, which are knowledge-driven contents, function-driven contents, and attitude-driven contents. What is suggested above reveals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knowledge educa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because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it suggests media literacy education contents, examining whether media literacy education has identity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this article suggests the future vi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expands and deepens the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