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고용수준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직업생활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호작업장 사례를 중심으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이동영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55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국 문 초 록 보호고용수준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직업생활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호작업장 사례를 중심으로 김 희 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정책 전공 본 연구는 보호고용수준의 지적장애인의 직업생활능력 증진에 기여하고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호작업장에서 운영 중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실천적 유용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effectiveness)’을 평가하고자 한다. 둘째, 효과성 평가에 있어 ‘탐색적’ 차원으로 접근한다. 즉, 본 연구는 시행된 프로그램의 성격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의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지, 효과 자체의 ‘절대성’을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셋째, 효과성 평가를 근거로 타 기관의 지적장애인 대상 프로그램 활용가능성을 모색한다. 연구방법은 집단실험설계 중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적용한 사전-사후측정에 의한 차이지수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측정은 지역사회적응검사(Community Intergration Skills-Assessment: CIS-A)에서 직업생활영역의 2개 하위요인 직업기능, 대인관계 및 여가 부분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등급)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각각 적용하였다. 활용한 통계패키지는 SPSS 20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은 직업생활능력 중 직업기능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직업기능특성 중 특히 직업준비와 태도 부분에 있어 거의 대부분의 대상자가 향상되었으며 직장생활을 할 때 지켜야 할 기본적인 직업태도에 대한 인식 수준도 많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다양한 직업적응훈련을 통해 지적장애인 개개인의 잠재된 직업능력 확인 및 향상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은 직업생활능력 중 대인관계 및 여가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응훈련을 통해 대인관계기술에 대한 인식수준과 지역사회내의 여가시설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과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인관계 및 여가활동 관련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잘 적응하는 독립된 한 사회일원으로 성공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An Inquiry-Based Study on the Effects of a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heltered Employment Level on Their Improved Vocational Life Abilities : With a focus on the case of the sheltered workshop of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im Hee-jung Major in Social Welfare Polic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set out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run by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t its sheltered workshop and demonstrate its practical usabil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d vocational life abiliti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heltered employment level.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irst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Second, it approached effectiveness evaluation at an "inquiry" level. That is, the study intend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on an inquiry basis by reflecting its character rather than argue for the "absoluteness" of the effect itself. Third,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a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other ag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effectiveness evaluation. As for methodology, the study evaluated effectiveness with a different index by the pre- and post-measurement after applying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f the group experimental designs. The study used two subfactors of the vocational life domain in the Community Integration Skills-Assessment(CIS-A), namely vocational func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isure,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llected data were put to descriptive analys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and types and classes of disability) among the subjects.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 the SPSS 20 statistical packag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improved vocational functions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life abilities. Most of the subjects improved in job preparation and attitude of the vocational functions characteristics thanks to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and made a huge increase in the perception level of basic job attitudes required for work life. Those findings suggest that systematic and divers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s can help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heck and enhance their potential vocational abilities. Second,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isur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life abilities. Work adjustment training helped them increase their perception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the skills to make various use of leisure facilities within the community, and the problem-solving skills via various and broad experience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work adjustment training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isure activities can help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dapt to the community well and make it as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