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 외부통제, 사회비교경향성, 자기의심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doubt
- 주제(키워드) 도움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 사회불안 , 외부통제 , 사회비교경향성 , 자기의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52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자기조절모델 이론을 바탕으로 경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사회불안은 대인 관계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적응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의심과 같은 개인내적 변인의 탐색뿐만 아니라 외부통제 및 사회비교경향성과 같은 대인관계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외부통제 및 사회비교경향성, 그리고 자기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Liebowitz 사회불안 척도(LSAS), Rotter의 내외통제소재척도, 사회비교경향성 질문지(INCOM), 기질적 낙관주의와 비관주의(LOT), 자기의심 척도(Self-Doubt Scale)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i)외부통제와 자기의심, (ii)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밝혔다. 둘째, Carver와 Scheier(1991)의 자기조절모델 이론에 따라 사회불안의 발생 기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원인으로 지금까지 많이 언급되지 않았던 사회맥락적인 변인인 외부통제와 사회비교경향성에 초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제어(key word):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대학생 사회불안, 외부통제, 사회비교경향성, 자기의심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e self regulation model. Considering social anxiety is a maladjustment experienced in social situation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not only intrapersonal factors such as self-doubt, but also interpersonal factors such as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examined. Particularly,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 doub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402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 Rotter's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Iowa-Netherlands Comparison Orientation Measure (INCOM), Life Orientation Test (LOT), and Self-Doubt Scale. As a resul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doubt and (ii)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doub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The present study has implication that, first, it specified underlying processes through whic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e social anxiety. Second, it empirically explained mechanisms of social anxiety based on the self regulation model. Thir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interpersonal factors including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hich have not been well-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anxiety.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were discussed. * Key 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external locus of control,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 doub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