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서 대화문의 문화 간 의사소통 분석
An Analysis of Conversation in High School EnglishⅠ Textbooks
- 주제(키워드) 도움말 대화문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노재호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51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2013년 처음으로 도입된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서에 수록된 대화문이 학습자의 문화 이해,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9개정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서 다섯 종에 수록된 대화문을 대화의 소재, 문화 유형, 대화자의 문화권, 대화의 소재와 대화자의 문화권 간의 연관관계, 대화문의 내용과 문화란 내용의 연계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섯 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대화문에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가지의 소재 중 18가지의 소재가 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소재가 고르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개인생활, 학교생활을 포함한 몇 가지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문화 관련 소재인 7번~10번 소재의 비율은 전체 대화문의 16.7%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대화문을 통해 문화를 학습하기에는 그 양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대화를 문화 유형으로 분류했을 때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낸 것은‘행동 문화’로 각 나라의 인사법, 바닥에 앉는 문화 등 다양한 내용들이 다뤄졌다. 그 뒤를 이어 정신문화, 물질문화 순의 비중이 나타났다. 셋째, 대화자간 문화권 분포에서는 ‘알 수 없음’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는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 간의 대화의 비율이 높았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대화자들의 국적을 볼 때 ‘한국-영미권’간의 대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영미권-기타’간의 대화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넷째, 대화자 간 문화권과 대화 소재의 연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대화자간 국가적 배경이 다른 경우에 문화와 관련된 소재를 다루는 대화문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화문의 내용과 문화란 내용 간의 연계성은 한 교과서를 제외한 네 종의 교과서 모두 50%를 넘었다. 문화란의 내용과 연계성이 없는 대화문의 경우, 대부분 그 단원 전체의 주제 또는 본문의 내용과 연관이 되어 있었지만 일부는 본문 또는 문화 학습과 관련이 없이 단순한 정보를 제시하는 내용도 있었다. 교과서 내의 대화문을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했을 때 위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화문에 문화소재가 고르게 분포되어야 하며 문화 관련 소재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 대다수의 대화문들이 본문의 전 부분에 제시되어 본문과 연결되므로, 문화 학습을 위해 본문에도 문화 소재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의 유형을 고르게 제시함으로써 의사소통 기능 학습을 위한 행동 문화에만 집중하지 않고, 보통 자주 다루어지지 않는 정신문화의 내용도 함께 제시하는 것이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의 여러 가지 이면들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대화문의 내용과 문화란의 내용을 지금처럼 연계성 있게 제시해 학생들이 각 부분에 걸쳐 문화를 학습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화자들의 문화권을 목표 언어가 속한 국가에만 집중시키기보다 좀 더 다양하게 설정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시대와 발맞춰 문화 학습의 중요성을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는 만큼, 문화란의 내용을 학생들의 진정한 문화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내실 있게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들도 영어를 가르칠 때 단순히 언어의 기능적인 부분에만 집중하기보다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에 문화를 어떻게 연결시켜 지도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계획을 세운다면 학생들이 세계화에 걸맞는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영어를 학습하는 데 보다 수월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purposeofthisstudyistoanalyzeconversationsinHighSchoolEnglish Ⅰtextbooks to see how wellthe culturalcontents are reflected for helping students perform successfulcommunication with people from differentcultural backgroundsthrough conversation.Fivetextbooksarechosen,and fivecriteria aresettoconductthisstudysuchastopics,culturetypes,culturalbackgrounds of conversational participants, relationship between topics and participants' culturalbackgrounds,and the connectivity between conversation topics and culturesection. Theresultsofstudy areasfollows:First,based on 19topicssuggestedby nationalcurriculum,18topicsarecoveredinconversations.However,theratioof each topicisnoteven and sometopicsincluding personallife,schoollifeand friendship,andsociallifeandinterpersonalrelationshipoccupiedforover38% out of19 topics.On the otherhand,topics aboutpatriotism,peace,security,and unificationarenotcoveredatall.Secondly,amongthreeculturetypes,behavioral culture type occupied 53.4% of conversations.Other culture types including spiritualculture and materialculture accounted for 24.4% and 22.2% each. Thirdly,culturalbackgroundsofconversationalparticipantsarenotfoundinover 68% ofconversations.However,in therestofconversations,19% ofthem is between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most of these conversationsarebetweenKoreansandnativeEnglishspeakers.Fourth,mostof the culturalcontents are covered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with differentculturalbackgrounds,especially Koreansand native English speakers. Lastly,intermsofconnectivitybetweenconversationsandculturesections,over 50% ofconversations areconnected to culturalsectionsin topicexceptfor1 textbook. Based on the results,following can be suggested:First,culturalcontents shouldbegivenmoreweightsothatstudentscanlearnaboutvariouscultures throughconversationstoenhanceEnglishcommunicationskillswithpeoplefrom differentcountries.Also,alltopicsshouldbeshownevenlysothatstudentscan participate in conversations without difficulty under the variety of topics. Secondly,types ofculture should be reflected evenly in conversations.Third, culturalbackgroundsofconversationparticipantsshouldbemorevariousinstead offocusing on those only between Korean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learning various cultures. Lastly, contents in conversationsandculturesectionsshouldbeconnectedsothatstudentscanlearn culturemorenaturally.Also,contentsofculturesectionsshouldbeconstructe more carefully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the culturalstudies,and also teachershouldplanthelessonstoconnectcontentsandculturesmorecloselyso thatstudentscanlearnculturemorenaturallyincla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