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커뮤니케이션 진단 모델을 활용한 경향 연구 : 2004년 2013년 국내 100대 기업 및 비 100대 기업 진단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The Trend Studies of Intern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del
- 주제(키워드) 도움말 사내커뮤니케이션 , 조직 문화 , 변화관리 , 관여 , 가치관의 공유 ,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신호창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49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2004년과 2013년 사내커뮤니케이션 진단 모델에 기초하여 국내 100대 기업과 비 100대 기업의 사내커뮤니케이션 수준을 측정하였다. 2008년 금융 위기 후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실제 기업의 사내커뮤니케이션 수준 변화 양상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2002년 신호창이 개발한 사내 커뮤니케이션 진단 모델은 가치관의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3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첫 번째로, 조사 대상의 소속 기업 규모를 국내 100대 기업과 비 100대 기업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2004년과 2013년 두 시점 간의 차이가 기업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100대 기업은 가치관의 공유, 명확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향상이 나타났으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차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국내 비 100대 기업은 이러한 세 가지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전반적인 수준에서 된 결과를 드러내고 있다. 연구 결과에 비춰볼 때 지난 10년 간 국내 100대 기업과 비 100대 기업의 사내커뮤니케이션 수준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무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글로벌 수준의 사내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전사적인 지원 및 투자가 확대 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diagnosed Top 100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in korea degree of internal communication, in 2004 and 2013, respectively. It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del.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ransformation of communication pattern after the impact of financial crisis in 2008. Ho-chang Shin's Intern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del, developed in 2002, mainly measures three following aspects: shared value, clear busin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mpaign. Before entering into the stud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op 100 companies and ohter companies in korea accordance with their volu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how internal communication patterns of those two groups of different have changed between 2004 and 2013.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op 100 companies in korea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such two dimensions as the shared values and clear busin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mpaig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ast, other companies did not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duction of communication was observed in both two groups of companies. In light of this study, over the past decade, gap of companies' internal communication level between Top 100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Companies should execute practical efforts to overcome such discrepancy. In addition, companies' utmost support and expansion of investment is required to undertake internal communication strategy of global leve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