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정기관의 정보공개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ual conditions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improvement

초록/요약 도움말

오늘날 우리 사회는 민주화의 진전과 시민의식의 성장으로 국가 나 공공기관이 보유 · 관리하는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도 1998년 정보공개법을 제정 시행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권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노력과 앞선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정보공개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정보공개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정보공개제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운영상의 문제점도 다수 존재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정보공개시스템 구축에 의한 정보의 온라인 제공은 수요자인 국민의 편익 측면에서는 유용한 제도이나 이는 자칫 과다한 정보노출로 인한 국가기밀 노출과 개인의 사생활 침해 여지가 있다. 둘째, 과도한 정보공개는 범죄에의 정보의 악용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일부 정보공개청구자는 공공기관에 대한 불만과 항의의 표시로 자기관련성이 없는 다량의 정보공개청구를 하고 수령을 거부하는 등 권리를 남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제재규정이 없어 불필요한 행정력의 낭비를 초래한다. 넷째, 국민생활과 밀접한 행정정보는 사전에 적극 공개한다는 취지로 마련된 사전정보공개제도는 공개대상 정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 형식적으로 운영되어온 측면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정보공개심의회는 이의신청 등에 대한 정보공개심의를 대부분 서면 심의로 대체하고 있어 청구인의 권리가 침해될 소지가 많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현행 정보공개제도 운영상의 문제점들에 대해 국 ·내외 문헌과 자료들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에 의한 정보공개청구 및 처리는 신속한 업무처리와 청구권자의 정보공개 요구에 대한 적시성 등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칫 개인정보의 도용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소지가 많다. 이에 대해 보다 강화된 보안절차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정시설에 수용된 수용자의 경우 자신의 수용처우에 대한불만의 표시와 처우의 개선을 요구하는 수단으로 정보공개청구권을 남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으나 정보공개법상 이러한 권리남용자에 대한 아무런 제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그동안 사전 정보공개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어 온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는 2011년 정보공개법시행령을 개정하고 국민생활과 밀접한 행정정보에 대해서는 사전에 이를 적극 공개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직접 정보공개 업무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과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공개의지가 필요하다. 넷째, 현재 정보비공개결정에 대한 불복절차 중 이의신청 등을 심의 · 결정하는 정보공개심의회 개최 형태를 보면 서면심의와 대면심의 비율이 약 8:2 비율로 운영되고 있어 청구인의 권리구제에 소극적이고 행정편의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정보공개심의회 운영은 대면심의를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인 경우에 서면심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외부위원 위촉비율도 현재보다 높이는 방향의 제도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oday, with advances in democracy and civil consciousness, Koreans are demanding a greater access to the information owned and managed by the state and public agencies.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s, Korea enacte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1998 and has been executing it. In particular, Korea has put in place a system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that can compete with developed countries by improving the system to guarantee a greater access to information owned and managed by public agencies and building an online system to make information public taking advantage of the nation’s highly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despite the advances in the system to guarantee a greater access to information, several adverse effects and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such system still exist. They include; First, making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by building an onlin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useful on the part of the people, the consumers of the information. However, this has raised greater possibility of national secrets being leaked and violation of privacy due to excessive disclosure of information. Second, excessive disclosure of information could lead to its misuse,including being capitalized on for crimes. Third, no regulations are put in place to rein in those who try to abuse their right to information, causing the waste of the government’s resources. Some people request some information that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to be released in protest of public agencies and refuse to accept it when it is available. Fourth, the Proac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with the idea of proactively releasing public information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people’s lives before requested, has been in place but without meaningful impacts as it does not define what information can be disclosed. Fifth, the Review Committee on Information Disclosure responsible for reviewing appeals by applicants often replaces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review of written documents, raising the possibility of the violation of applicants’ right. This paper is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correct the above problems and improve the curren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by studying and analyzing a number of publications and dat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irst, making a request on information and handling such request over the Internet have a number of advantages, including swift and timely response. However, taking care of information online could lead to violation of privacy due to identity theft. Therefore, the system requires a more stringent security process. Second, inmates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often abuse the right to request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as a means to express dissatisfaction with their treatment in the facilities and demand improvement of their treatment. The current Freedom of Information Act needs review as the law does not have any clauses to rein in those who try to abuse the right. Third,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 2011 and decided to proactively make available public information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people’s lives before requested in an effort to improve the Proac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hich is operated only nominally. However, for this system to successfully take root,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responsible for handling requests on information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expertise and have strong determination to make information public. Fourth, the Review Committee on Information Disclosure, which is responsible for reviewing and judging appeals to decisions not to disclose information, relies more on the review of written documents than face-to-face interviews at the rate of 8 to 2, drawing criticism that the committee is passive in protecting the right of applicants and puts more focus on its own convenience than the people’s right.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Review Committee needs to be improved in ways that the right of applicants to have their requests adequately considered is protected by moving away from the review of written documents to face-to-face interview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