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수 없는 과거, 나아갈 수 없는 현재 : 민주화 이후 한국과 헝가리 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트라우마의 연구
Disentangling the past, and moving through the present: A study on political trauma in Korean and Hungarian novels written after the Democratization
- 주제(키워드) 도움말 Korean and Hungarian Comparative Study , Political traum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우찬제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46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초록/요약 도움말
풀 수 없는 과거, 나아갈 수 없는 현재 - 민주화 이후 한국과 헝가리 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트라우마의 연구 한국과 헝가리는, 겉보기에 아무런 공통점이 없는 두 나라이지만, 전통 문화와 역사, 그리고 그것에서 비롯된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자기인식 등에서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가장 최근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면, 두 나라의 오랫동안 계속된 독재 정권과 80년대 후반의 민주화가 유사한 점이다. 지속적인 독재 정권에 의해 강제된 테러체제는 일반인들에게 끊임없는 폭력과 압박을 당하게 한 것이다. 시민들은 이것을 정신적인 트라우마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민주화 이후 독재 정권의 아픈 기억들에 대해 침묵을 지키며 트라우마를 무의식적으로 내쫓았다. 하지만 해소되지 않은 정신적인 외상 기억들은 위험이 사라진 후 다시 표면화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과거와 합의를 이루기 위하여 그것을 처리할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문학은 트라우마의 기억을 글로 표현하면서 그것을 의식화하고, 상처를 처리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90년대 이후의 한국 문학에서는 과거의 트라우마를 회상하며 그것을 이겨내고 현재에 통합시키려는 ‘후일담 문학’이라는 장르가 있다. 본 논문은 민주화 이후 한국과 헝가리 후일담 문학의 대표작 총 4편을 정치적 트라우마의 관점에서 관찰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문학적인 텍스트 간의 분석과 주로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의 트라우마 이론을 통해서 3장과 4장에서 각 소설에서 주인공들이 갖는 내면의 트라우마에 대해 깊이 살펴보았다. 먼저, 주인공이 갖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의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다음으로 과거의 트라우마의 근원과 특성, 기간을 찾으려고 했다. 마지막으로 소설 속의 트라우마의 치유의 가능함과 불가능함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3장에서는 케르테스 임레의 『청산』과 공지영의 「인간에 대한 예의」를 분석해보았다. 먼저, 주인공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을 살펴보면 두 주인공은 모두 주로 침투와 억제 증상들을 갖고, 그것들의 일부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다. 케세뤼의 증상들은 주로 그의 현실에 대한 왜곡된 감각과 그것으로 인한 그의 정체성 위기와 관련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실을 현실같이 느끼지 않고, ‘소위 현실’로 인식하며, 자신을 마치 희곡 작품의 한 주인공처럼 인식한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실한 증명을 갖고 싶다. 하지만 지속적인 트라우마에 인해 주도권을 빼앗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독창력initiative을 보여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그는 과거에 대한 끊임없는 회상과 기억에만 몰입하고 여전히 과거의 포로가 남는다. 반면, 공지영의 주인공은 현재와 강력한 유대관계를 갖는다. 그녀는 운동권을 벗어난 지 오래 됐고, 인생을 ‘새로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녀는 아직도 벗어날 수 없었던 과거와, 극복할 수 없었던 과거의 문제들에 대한 심한 집착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자신의 죽은 친구들에 대한 ‘살아남은 자의 죄의식’으로 특징짓는다. 그러므로 그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들은 주로 과거와 현재에 대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그녀의 마음과 관련이 있다. 두 주인공은 이러한 현재와 과거에 대한 단절에서 공통점을 갖긴 하지만, 공지영의 주인공은 왼 발이 과거에 있고 오른 발이 현재에 있다고 하면 케세뤼는 완전히 과거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는 현재와 거의 연결이 끊긴 정신 상태에 머물고 있다. 주인공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들의 특징에서 두 인물은 모두 허먼이 언급한 ‘복잡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으로 괴로워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다양하며, 동시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을 주로 단일의 트라우마가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계속된 트라우마가 유도한다고 허먼이 언급한다. 역설적으로 두 소설 모두에서는 이러한 지속적인 트라우마는 직접적으로 독재 정권의 압박으로 인해 겪은 것이 아니다. 반대로, 저항 운동에 참석하면서 그것의 압박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당한 것이다. 그러므로 독재 정권을 간접적으로만 가해자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주인공은 저항 운동에 대한 향수적인 마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재 사회로부터 어느 정도로 단절하게 되는데, 그것의 정도에는 또한 차이점을 보인다. 공지영의 주인공은 케세뤼보다 현실의 일상생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치유에 대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지막으로, 두 주인공은 - 그것의 정도가 다르겠지만 - 비슷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과 트라우마 경험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유의 과정에서 극단적으로 다른 태도를 보여준다. 『청산』의 케세뤼는 주도권을 재확립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할 수도 없고, 예전의 이야기를 계속할 수도 없다. 그의 행동들은 과거에 대한 향수로 특징지어진다. 그러한 과거의 삶은 ‘강제 수용소’와 같았지만, 그에게 실제적이며 흥미롭다고 느껴져서 그것을 그리워한다. 그는 과거의 이야기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하기 때문에, 영원히 자신의 기억에 몰입하게 된다. 그리고 사실 케세뤼는 현재에 대한 기대나 희망이 없기 때문에 그러한 과거에서 벗어나고 싶지도 않는다. 「인간에 대한 예의」의 주인공을 케세뤼와 구별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녀가 자신의 문제에 대해 인식한다는 점이다. 그녀는 문제를 인식하기 때문에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도권을 다시 확립할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의 과거를 받아들일 수 있기 위하여 그것을 기념화하며 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허먼이 회복의 두 번째 단계로 언급한 이러한 ‘기억과 애도’의 단계를 완성해야 그녀는 사회와 다시 연결할 수 있으며, 미래로 나아갈 희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장에서는 몰도와 죄르지의 『겁쟁기의 용기』와 양귀자의 「천마총 가는 길」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몰도와의 주인공이 갖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을 그의 아동학대로 인해 기형된 성격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증상들은 두려움과 오직 한 사람에 대한 이상화,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복수 환상’과 관련이 있다. 어린 시절에 아동학대를 회피하기 위하여 효과적이었던 성격 특성들은 성인기에서 소용이 없는 것이 되며 그의 인생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천마총 가는 길」의 주인공은 오랫동안 갖고 있었던, 그의 성격으로 오해되기 쉬운 여러 가지 억제 증상을 겪고 있지만, 그러한 증상들은 게레브와 반대로, 그의 성격의 본질이 아니고 침투 증상들의 표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1987년의 민주화 운동을 요구하는 시위를 계기로 그의 낯익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이 오래 시간 후에 다시 표면화된다. 그는 특히 트라우마 기억과 관련된 폭력적인 침투 증상들에 위해 괴롭혀 있다. 주인공은 이러한 증상들이 7년 전에 당했던 심한 고문과 관련이 있다고 알지만, 증상들을 억압하기는커녕 통제하지도 못한다. 반면 케레브는, 자신의 트라우마에 대해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을 트라우마와 연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의식적으로 인식하지도 못한다. 그 다음으로, 두 소설의 트라우마 근원과 특징들에 대해 언급하면서 두 트라우마 경험은 모두 단일의 트라우마에 (아동 학대, 고문) 출발점을 두었으며, 생존자에게 초기의 충격을 주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험의 결과 게레브의 성격은 왜곡되었으며, 양귀자의 주인공이 정체성 위기에 처하며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트라우마 경험은 이러한 단일의 트라우마로 끝난 것이 아니었다. 게레브는 어린 시절 때 발달된, 기형된 성격의 특징인 ‘끊임없는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인생을 하나의 긴 트라우마 경험으로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양귀자의 주인공도 고문이 끝나고 계속적으로 위협을 느꼈다. 독재 정권이 무너질 때가지 그는 완전한 안전감을 갖고 있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역사의 흐름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시대가 바꿔도 이러한 위험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에 그는 사로잡힌다. 마지막으로, 소설에 나아가 겉보기에 두 주인공은 비슷하게 부정적인 진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게레브의 성격은 끊임없이 왜곡된다. 그는 성인기에 여러 가지, 자신의 성격과 도덕성을 겨냥한 도전과 맞서는데,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그러기 때문에 그의 기형된 성격의 특징들은 더욱 강제되며, 특히 다른 사람들에 대한 두려움과 복수심이 강화된다. 시간이 흐르며 그는 도덕성을 완전히 버린, ‘생존’으로만 만족한, 항상 가장 강한 자와 어울리는 겁쟁기가 된다. 「천마총 가는 길」의 주인공은 또한 부정적인 진보를 보이지만, 이것은 그의 심해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과 관련된다. 그리고 몰도와의 주인공과 반대로, 그는 자신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들에 대해 인식할 뿐만 아니라, 트라우마 기억과, 특히 그에게 트라우마를 가했던 가해자에 대해 끊임없이 명상하며 생각한다. 그는 천마총에 가는 길에서 인간이 본질적으로 나쁘지 않지만, 역사의 흐름에 위해 악행을 저지른다는 결론을 내린다. 마음으로 아직 가해자들에게 용서하지 못했지만, 그러한 미움은 잘못 된 것을 의식화할 수 있다. 몰도와는 이러한 인간의 본질적인 성격에 대한 극단적으로 다른 결론을 내린다. 소설의 시작 부분에서 나온 인용부분처럼, 인간은 악하거나 불량의 존재로서, 그를 경멸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것이다. 소설의 마지막 장면인 비-자기소개extroduction의 행위도 이러한, 인간에 대한 포기를 암시한다. 즉, 게레브는 그의 마지막 친구에게도 버림받고, 그가 용서를 하지 못한 것처럼 그도 용서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소설이 끝난다. 반면 「천마총 가는 길」의 마지막 장면을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암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주인공은 가족에 대한 ‘완벽한 사진’을 찍는 것은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들의 지지로 회복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장에서는 각 작품을 분석하면서 찾아본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요약하며 분석해보았다. 우선, 한국과 헝가리 ‘후일담 문학’의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두 나라의 문학에서 묘사되는 공통점에서 출발하는, 비슷한 트라우마 경험들에 대해 언급했다. 즉, 네 편의 소설의 경우 트라우마의 한 출발점을 찾을 수 있더라도 트라우마 경험은 단일한 사건이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간접적이거나 직접적으로 독재 정권의 압박에 의해 생겨났다고 밝혔다. 또한 소설들의 역사의 멈출 수 없는 흐름을 강조하는 특징에 대해도 언급했다. 이러한 공통점의 이유를 두 나라의 비슷한 역사적인 경험에서 (가장 최근의 독재 정권과 그 전의 억압과 반란들의 역사) 찾아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의 메시지와 회복의 가능성에 대한 본질적인 차이점을 찾았다. 그 차이점의 이유를 두 나라 작가들이 현재 사회와 자신의 독자들에 대해 생각하는 다른 의도에서 밝혔다. 즉, 공지영과 양귀자는 ‘전통적인 작가’의 역할을 하면서 독자들을 염두에 두며 그들에게 방향을 제시하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반면, 케르테스와 몰도와는 헝가리인들과 민주화 이후 사회에 대해 느끼는 환멸 때문에 그러한 현실 참여적인 작가 역할을 하지 못하며 자신만을 위해, 아니면 미래의 세대를 위해 글을 쓰는 것이다. 현재의 독자들을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알아듣고 활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트라우마의 기억을 미래의 세대에게 이차 기억으로 남겨줄 수 있다. 하지만 헝가리 작가들은 현재 독자들에 대한 절대적인 무관심을 보여줌으로써, 그리고 독자들에게 작품을 트라우마의 증언보다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로서 읽기를 거부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트라우마 증거의 의미를 파괴하는 것이기도 한다. 이러한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작가의 의도의 이유를 헝가리의 민주화 이후의 역사나 정치적인, 사회적인 상황에서 찾아보았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Disentangling the past, and moving through the present - A study on political trauma in Korean and Hungarian novels written after the Democratization The following study analyses the way trauma is portrayed in Korean and Hungarian literature written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the two countries (1987, and 1989, respectively). More accurately, it is concerned with the political trauma inflicted on common citizens during the long authoritarian regime that preceded the Democratic movement, and it's memory and effects depicted in Korean and Hungarian novels after the Democratizat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a Korean genre, 'Huildam' or 'Epilogue' literature, and contrasts it with Hungarian works of similar formal qualiti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Huildam'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an oscillating storyline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y it's quality of reinterpreting the past from the viewpoint of the present. Therefore it's an ideal subject for a study on the memory of trauma. The following study tries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How is the memory of trauma depicted in contemporary Korean and Hungarian literature? What can be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reasons for the remarkable similarities observed in the nature of trauma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epicted in the two literatures? And, even more importantly, what can be the reason for the fundamentally different conclusions on the healing process of such trauma, even though the traumatic experience in Korean and Hungarian literature were remarkably similar?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t is important to compare specific works from both literatures. Therefore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making use of mostly the theory of 'close reading'. Moreover, in analyzing trauma, the aftermath of trauma, and it's healing process, it makes use of the trauma theory of Judith Herman's classic work in psychoanalytic research, Trauma and Recovery. In Chapter 3 and 4, four Korean and Hungarian novel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first: the main character's PTSD symptoms, second: the nature, length,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st's trauma, and third the possibilities of overcoming such trauma, and the healing process. In the third chapter, Imre Kertesz's Liquidation and Gong Ji-yeong's Human decency is analyzed. The various PTSD symptoms of Keseru, Kertesz's main character are revolving mainly around his deteriorating perception of reality, and identity crisis. He is perceiving the present as a 'so-called reality', and strives to find either a way of escaping from it, or some kind of evidence of it's reality. However being unable to take the initiative in anything, his tries prove to be futile and he stays a prisoner of his past. The main character of Human decency on the other hand is strongly connected to the present, but has a strong obsession with the past that she can not overcome. This is mostly characterized by the 'survivor guilt' she feels for her lost friends. Therefore her PTSD symptoms arise mostly from the inability to harmonize past and present. Driving conclusions mostly from the various PTSD symptoms of the characters, it was revealed that they both suffer from what Herman calls 'Complex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at is caused by chronic trauma as opposed to a single traumatic experience. Paradoxically in the two novels this chronic trauma was inflicted on the characters by the strict rules and repression of the resistance movements, therefore the oppression of the dictatorial regimes was only an indirect cause for their sufferings. In the meaning of healing, the protagonist of Liquidation can not reestablish his own authority, and therefore can not 'start a new story for himself', He is characterized by a nostalgy for the past, even if it was like a 'concentration camp': he is forever trapped in his own memory. On the other hand, by being able to realize her own problem, the main character of Human decency manages to seize the initiative to herself. She realizes that the only way for her to come into terms with her past is to commemorate and mourn it, and it is the only way to have the hope of being able to go on in her life in the future. In the fourth chapter, Gyorgy Moldova's The courage of the Faint-hearted, and Yang Gui-ja's On the way to Cheonma Tomb were contrasted. The PTSD symptoms of Moldova's character are characterized by the deformations in his personality that were caused by continuous child abuse: they revolve around fear, the idealization of a few characters, and 'revenge fantasies' against the others. The personality traits that were adaptive for him during his childhood become maladaptive and cause several difficulties in his adult life. The main character of On the way to Cheonma tomb suffers from the returning of several violent PTSD symptoms that surface after a long time as an answer to the violent demonstrations surrounding the Democratic movement of 1987. Even though he is well aware that these symptoms are connected from the torture he had to endure seven years before, he is not only not able to repress them, but can not control them either. In discussing about the nature and starting point of the trauma in both novels, it became obvious that while both traumas had a distinct starting point (child abuse, and torture) that gave a shock to the protagonists, the trauma inflicted on them did not cease with the fading away of the initial trauma. While because of his continuous fears he perceived his whole life as a long traumatic experience, Gereb also faced a chain of repeated trauma later in life that caused him to fail repeatedly and slowly give up even on his remaining morality.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itial torture, Yang Gui-ja's main character was endlessly tortured by the conscious and later unconscious fear that the initial trauma might repeat itself therefore making the initial trauma a continuous experience. In means of the healing process, The Courage of the Faint-hearted and On the Way to Cheonma Tomb both show a kind of 'negative progression' (by the deteriorating personality of Gereb, and the aggravating symptoms of Yang Gui-ja's protagonist), the conclusion of the two novel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ldova's novel ends with the act of 'extroduction', thus giving up on Gereb and abandoning him as someone who can not be helped, as he is too immensed in self-pity and paranoia to have a chance to ever recover. Yang Gui-ja's novel on the other hand ends with the last, impressional scene of the protagonist taking the 'perfect photo' of his family. This implies the hope for the main character to be able to overcome his fears and start his recovery process by leaning on the support of his family and in the future the telling of his story. The last, summarizing chapter tries to give answers to the questions asked in the introduction. First, it examines and sums up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Hungarian trauma literatu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s. Precisely, it focuses on the different conclusions arising from similar traumatic experiences or circumstances in the two literatures. Last, it tries to find answers to why the conclusions of Hungarian works are essentially pessimistic as opposed to Korean novels. The reason for this is found in the different way the authors treat their readers which arises from historical reasons, the 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the different ways they think about 'writing', and the role of the writer.
more초록/요약 도움말
Megszabadulni a múlttól, hogy továbbléphessünk a jelenbe – A demokrácia kialakulását követő magyar és koreai irodalomban megjelenő politikai trauma A diplomamunka célja a kortárs koreai és magyar irodalom összehasonlítása. Pontosabban azt kutatja, hogyan jelenik meg a trauma motívuma a demokrácia kialakulása (1987, és 1989) utáni dél-koreai és magyar irodalomban. Ezen belül elsősorban azzal foglalkozik, milyen traumatizáló hatással volt az egyszerű polgárokra a demokráciát megelőző hosszú önkényuralmi időszak, illetve hogy a demokrácia kialakulása után született koreai és magyar regényekben ennek emléke és hatása hogyan jelenik meg. A tanulmány egy koreai irodalmi műfajjal, az úgynevezett ‘huildam’ vagy ‘epilóg irodalom’-mal foglalkozik. A ‘huildam’ irodalmat a múlt és jelen között váltakozó cselekmény, a múltat a jelen nézőpontjából újraértelmező hangnem jellemzi, ezért a trauma tanulmányozásához ideális. A diplomamunka formailag hasonló kortárs koreai és magyar irodalmi műveket állít szembe egymással. A diplomamunka a következő kérdésekre keresi a választ: Hogyan jelenik meg a trauma ábrázolása a kortárs koreai és magyar irodalomban? Mik lehetnek a szociális, kultúrális, és történelmi okai a művekben lefestett trauma jellemzőiben, és az ebből eredő poszttraumatikus stressz szindrómákba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fellelhető feltűnő hasonlóságoknak? Ami pedig ennél is fontosabb, mi lehet az oka az alapvetően ellentmondó következtetéseknek a traumából való felgyógyulással kapcsolatban, annak ellenére, hogy a traumatikus élmény rendkívüli hasonlóságokat mutat a két ország irodalmában? Annak érdekében, hogy választ tudjunk adni a fenti kérdésekre, néhány jellegzetes művet állítottunk szembe a két ország irodalmából, és ezek szövegét elemeztük. A trauma, a trauma utóhatásai, illetve gyógyulási folyamatának elemzéséhez pedig elsősorban Judith Herman klasszikus pszichoanalítikai művére, a Trauma and Recovery-re támaszkodtunk. A harmadik és negyedik fejezetben két-két magyar és koreai regényt állítottunk szembe és elemeztünk a következő három szempont alapján: a poszttraumatikus stressz szindróma mely tüneteitől szenved a főszereplő? Mi a kiindulópontja, hosszúsága, és egyéb jellemzője a trauma élménynek? Milyen lehetősége van a regényekben a trauma legyőzésének, illetve az abból való kigyógyulásnak? A harmadik fejezetben Kertész Imre Felszámolás és Gong Ji-yeong Emberi tisztesség című művét elemeztük. Keserűnek, Kertész főszereplőjének PTSD tünetei elsősorban saját folyamatosan romló valóságérzékelése, és identitás válsága körül forognak. A jelent „úgynevezett valóságként” érzékeli, és minden erejével megpróbál szabadulni ettől azzal, hogy teljes mértékben a múltbeli emlékeibe temetkezik, vagy legalábbis igyekszik bizonyítékot szerezni arról, hogy amiben él, az tényleg a valóság. Azonban, mivel semmiben sem képes a kezdeményező szerepét játszani próbálkozásai hiábavalóak és továbbra is a múlt foglya marad. Ezzel ellentétben az Emberi tisztesség főszereplője szorosan kötődik a jelenhez, de őt is sok rögeszme köti a múlthoz, amit nem képes maga mögött hagyni. Ezeket elsősorban a „túlélői bűntudat” jellemzi, amit halott barátai iránt érez akiket úgy érzi, otthagyott egy sötét alagútban. Ebből adódóan az ő PTSD tünetei elsősorban a múlt és a jelen harmóniájának hiányából adódnak. A két regény főszereplőjének PTSD tüneteit vizsgálva fény derült arra, hogy mindkét főhős a Herman által megfogalmazott úgynevezett Komplex Poszttraumatikus Stressz Szindrómától (CPTSD) szenved, melynek okozója krónikus hosszan tartó trauma, nem pedig egyetlen traumatikus élmény. Paradox módon a két regényben a trauma okozója csak közvetett módon a diktatórikus rezsim, közvetlenül éppen az ennek ellenálló titkos csoportok szigorú élete, szabályai, és elnyomása okoztak a főszereplőknek olyan mértékű folyamatos stresszt, mely végül traumatikus élménnyé fokozódott. A traumából való gyógyulás tekintetében a Felszámolás főhőse nem képes „új történetet kezdeni”, mivel nem képes visszaszerezni tekintélyét, és kezdeményezőkészségét. Egész életét a múltban való elmerülés és nosztalgia jellemzi, annak ellenére, hogy az olyan volt mint egy „koncentrációs tábor”. Ezzel ellentétben az Emberi tisztesség főszereplője azzal, hogy tudatosítja magában azt, milyen problémákkal küzd, magához ragadja a kezdeményező szerepét sorsa irányításában, és ezzel megteszi az első lépést a gyógyulás útján. Rájön, hogy az egyetlen módja annak, hogy kiegyezzen a múltjával az, hogy emléket állít, és meggyászolja a veszteségeit. Ez az egyetlen esély számára ahhoz, hogy továbbléphessen a jelenben, és a jövőben új életet kezdhessen. A negyedik fejezetben Moldova György A gyávák bátorsága, és Yang Gui-ja Útban a Cheonma sír felé című művét állítottuk szembe egymással. Moldova főhősének PTSD tünetei elsősorban saját, gyermekkortól kezdődő folyamatos fizikai és lelki erőszak miatt elkorcsosult személyiségével vannak kapcsolatban. A tünetek a félelem, néhány személy idealizálása, és különböző „bosszú fantáziák”-kal állnak kapcsolatban. Azok a személyiségjegyek, melyek gyermekkorában hasznosnak bizonyultak számára annak érdekében, hogy elmeneküljön az őt bántani akarók elől, felnőttkorában haszontalanná, sőt károssá válnak és különböző pszichológiai problémákat okoznak. Az Útban a Cheonma sírhoz főszereplője többféle PTSD tünettől szenved, melyek hosszú idő után, az 1987-es demokráciáért küzdő mozgalom körül kibontakozó erőszakos demonstrációk idején kerülnek újra felszínre. Annak ellenére, hogy a főhős tisztában van azzal, hogy tünetei közvetlenül a hét évvel ezelőtt, ártatlanul elszenvedett kínzások eredményei, nem képes elnyomni, vagy kontroll alatt tartani ezeket. A trauma jellemzőit és kezdőpontját vizsgálva egyértelművé vált, hogy bár mindkét esetben megkülönböztethető egy kezdőpont, melytől a trauma élmény elkezdődött, és amely a főszereplőknek kezdeti megrázkódtatást okozott (gyermek bántalmazás, és kínzás), ennek a kezdeti veszélynek a megszűntével a trauma korántsem szűnt meg. Geréb, Moldova főhőse folyamatos félelmei miatt egész életét egy nagy traumatikus élménynek fogta fel. Felnőtt életében is többször érte újra trauma (vagy olyan esemény, amit ő maga traumatikusnak érzékelt), melyeken nem sikerült felül emelkednie, és megpróbálva kikerülni ezeket mindig a könnyebb utat választotta. Ennek hatására amúgy is deformált erkölcsi érzéke szinte teljesen megsemmisült. Ezzel szemben a kezdeti kínzás után Yang Gui-ja főhősét folyamatosan az a kezdetben tudatos, később pedig öntudatlan félelem kínozta, hogy a kezdeti trauma esetleg megismétlődhet, ezzel folyamatos traumatikus élménnyé téve egész életét. A traumából való kigyógyulás tekintetében a mű folyamán mind a Gyávák bátorsága, mind pedig az Úton a Cheonma sír felé egyfajta „negatív fejlődés”-t mutat (Geréb romló morális érzéke, illetve Yang Gui-ja főhősének súlyosbodó tünetei tekintetében). A két regény befejezése azonban alapvetően különbözik. Moldova regénye „kimutatkozás”-sal ér véged, melyben Gerébet utolsó barátja is jelképesen elhagyja, mint valakit, akin már annyira eluralkodott az önsajnálat és paranoia, hogy nem lehet rajta segíteni. Ellenben Yang Gui-ja műve reményteli jelenettel zárul, melyben a főhős „tökéletes képet” készít a családjáról. Ez azt sejteti, hogy van esély arra, hogy a főhős legyőzze félelmeit és elinduljon a gyógyulás útján a családja segítségével, illetve a jövőben történetének továbbításával. Az ötödik, összefoglaló fejezet a bevezetésben feltett kérdésekre keres választ. Az előző fejezetek alapján megvizsgálja a koreai és magyar trauma irodalomban fellelhető hasonlóságokat, és különbségeket. Pontosabban elsősorban arra keres választ, mi lehet az oka a hasonló traumatikus élményekből levont ellentétes következtetéseknek a két ország irodalmában. Végső soron pedig arra keres választ, a koreai művekkel ellentétben miért alapvetően pesszimisták a vizsgált magyar regények. Ennek okát elsősorban abban találtuk meg, hogy a két nemzet írói különbözően viszonyulnak olvasóikhoz, illetve magához az „íráshoz” is, melyek különböző történelmi, politikai és kultúrális okokból erednek.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