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남산의 재구성 : 박정희 정권의 어린이 보건‧복지 정책과 남산의 변화

Reconstruction of Namsan Park: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Welfare Policies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Change of Namsan Park

초록/요약 도움말

서울의 상징이자 서울의 풍광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 남산이 서울에서 차지하는 지리적, 상징적 위상은 실로 크다. 그러나 그 현저한 공간적 위치성과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달리, 남산은 도시 공간 문화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토지 이용이나 공원 계획의 측면에서 남산 개발을 분석하기 때문에 그것이 정치적, 사회적 담론의 구성체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남산에는 다양한 정치권력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장안에 좋은 풍수적 기운을 싸안아 주는 산으로 여겨져 국가의 안녕을 위한 천제(天祭)를 지내는 목멱신사가 있었으며, 일제 식민 시기에는 경성 내 최대 신사인 조선신궁이 그 자리를 차지하여 제국주의의 위엄을 보여주는 무대로 활용되었다. 광복 이후 조선신궁이 철거되고 같은 자리에 이승만 정권이 그의 동상과 그의 호를 딴 우남정(現 남산팔각정)을 건립하였지만 4.19 혁명으로 파괴되었다. 이처럼 남산은 각 정치권력의 의지에 따라 새로운 정체성이 덧붙여지고 삭제되는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우리는 남산이 단순한 자연으로서 산이 아닌 집권부의 지배 이념이 투영된 장소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남산은 ‘어린이’에 관심을 기울였던 육영수 여사의 주도로 새로운 공간형태를 갖게 된다. 육 여사는 어린이가 구김살 없이 자라나도록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이자 목표로서 강조했다. 그녀의 어린이 육성책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장소는 남산이었다.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남산에는 동양 최대 규모의 ‘서울남산어린이놀이터(1963)’를 비롯 ‘남산어린이회관(1970)’, ‘남산식물원(1970)’, ‘남산동물원(1971)’, 그리고 ‘방정환 동상(1971)’이 차례로 세워졌다. 당시 어린이 보건·복지 사업의 원동력은 육 여사의 소박한 선의로 평가됐으며, 남산의 ‘어린이-공원화’는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박 정권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로부터 마땅히 표백되어야할 주체이자 ‘무색투명함’, ‘순진무구함’, ‘발전’, ‘진보’ 등 긍정적인 개념들을 우선 가치로 하는 어린이를 특정 공간의 이미지 요소로 선택한 이유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데에서 출발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표면으로 내세우는 관용의 태도 이면에 자리한 정치 권력적 작용을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국가의 어린이 보건‧복지 사업의 얼개와 내용을 파악하고, 남산에 세워진 개별 건축물의 외관과 구조, 동선, 방, 시설물 등의 배치를 기술한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산은 어린이 복지를 위한 순수의 공간이거나,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이 아닌 민족중흥과 반공, 조국근대화와 부국강병, 애국주의 등 정치권력이 야심차게 추진한 국가적 담론들을 구체화시켜주는 도구로써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어린이 신화(myth)와 이를 둘러싼 놀이, 여가와 유흥 등과 같은 탈정치적인 담론들의 결합은 남산이 내재하고 있는 이념적 담론이 발화되는 의미망을 교란시켰다. 그러나 남산이 명실상부한 어린이공원으로 연출되는 모든 과정이 지배 권력의 용의주도한 전략 하에 진행되었다고 보긴 힘들다. 도로확장과 교통 개선, 관광 산업의 발달,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여가‧문화 활동 활성화 등 다양한 비담론 층위의 네트워크는 남산으로 향하는 길들을 확장시켜주었으며 여기에 남산의 환상성을 적극 고조시키는 언론이 힘을 실어주면서 남산은 어린이들을 위해 국가가 제공하는 꿈의 동산이자, 행복한 가족상이 탄생하는 공간, 서울시민의 사랑을 받는 공간으로 자리하게 됐다. 한편 행복하고 안락한 남산공원의 공간 연출 안에 포함될 수 없는 요소들은 아무리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해도 배제되어야만 했다. 남산 변두리에는 도시하층민과 빈민 아동, 매춘부 여성 등 국가 복지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대상들이 병존하고 있었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정기가 서린 깨끗한 남산을 오염시키고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안전한 서울 시민의 휴식과 휴게를 위해 남산에서 청소되어야할 대상이었다. 남산에 관한 다수의 환상적인 기억들은 이들이 겪어야 하는 체계적 삭제를 통해 만들어진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어린이라는 관념과 정치적 실천, 남산이라는 물리적 조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연출 과정 및 연유, 개별 건축물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들이 당시 사회의 변혁과 어떤 연관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상화 권력이 국시로 내세운 다양한 시대적 담론이 공간과 같은 비담론적 조건과 상호연관 되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추적하였다. 이는 남산 연구에서 그동안 생략, 배제되었던 결정적 장소를 재기입하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As a symbolic landscape of Seoul, Namsan (lit. “South Mountain”) has been repeatedly betwee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with the will of political power. The royal power of Chosun Dynasty performed a ritual for wishing national peace in Namsan, and Japanese imperialism used the mountain as visual media of the colonial power with Joseon Shrine(朝鮮神宮). In the same logic, President Syng-man Rhee desired to represent his power by building a giant statue of himself. Namsan is not a part of nature but a historical edifice which hides diverse prints of political power. However, there has been remained as a blind point of Namsan’s history; the mountain was transformed to a children’s park during the President Chung-Hee Park Regime. Mrs. Young-Su Yeuk, the former first la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child welfare and remodeled Namsan for children (from 1960 to 1975). Since children and childhood seem to have an unimpeachable moral status, there has not been any polemics against or questions about them at all. However, this article pointed out the myth of child can be used strongly and strategically in political legitimization. Based on the problem-consciousness above, focusing on several places and apparatus (such as ‘Namsan playground(1963)’ and a ‘children’s hall(1970)’ and the other monuments), this article described and proved what effects these practices created, and what political consequences they entailed. For analysis, historical newspaper articles as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additional materials including documents, old maps, photographs were used. By analyzing, these places and apparatus which combined with the myth of child representing ‘innocence’, ‘goodness’, ‘the future’ could dissimulate fundamental governing discourse such as ‘anticommunism’, ‘revival of nation’, ‘the imperative of economic growth' ’scientism’ and ‘patriotism’. However, Namsan Children’s Park was not simply created out under Park’s leadership in all its execution and completion, but had the unique identity of place through interaction of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we called non-discourse such as development of traffic routes, tourism industry, a rise in national income resulting from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se factors encouraged people to head to Namsan for an outing. Also, media strengthened it. Namsan became emblematic of a paradise of children, and a main attraction for family visits or a couple on a date. Meanwhile, many diversities were excluded from the illusion of Namsan. for instance, shantytown residents, including displaced people and poor children, lived around the mountain. However, their stories were excluded and deleted in the placeness system. Prostitution villages were also demolished. These were an embarrassing part of Namsan Children’s Park. Namsan is a proud mountain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essential place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President Park, so it should be protected from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birth of Namsan Children’s Park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discursive and non-discursive processes. It analyzed the processes of discourse formation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and spatial apparatus and put a decisive place in Namsan history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