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력대란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 3대 중앙지 보도를 중심으로

A Frame Analysis of News papers in Korea about the Power Crisis

초록/요약 도움말

2011년9월15일 전력대란 이후 신문기사의 보도형식, 정보원, 형식적 프레임, 내용적 프레임 특성을 분석했다. 2011년 9월 15일부터 2013년 10월 18일까지 전력대란과 관련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의 신문기사 총291건을 대상으로 했다. 5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기사형식으로 스트레이트(61%) 형식의 단순보도가 심층 분석한 기사보다 많았다. 2011년 9월에는 순환정전의 영향으로 기획·연재 형태가 우세했다. 정보원으로 정부(46%)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공기업(16%), 전문가(16%)가 그 뒤를 이었다. 전력대란에 관한 보도원은 정부 중심의 정보원에 의존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형식면에서 본 뉴스 프레임은 사건 중심 프레임(68%)이 주제 중심 프레임(32%)보다 우세하게 나타나 전력부족에 대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시켜줄만한 구체적인 보도가 적었다. 내용면에서 본 뉴스 프레임은 경제적 프레임(41%)과 책인 귀인 프레임(39%)이 많았다. 시기가 지날수록 기사는 전력대란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하지 못한 채 갈등프레임으로 옮겨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thesis explores newspaper articles after the power crisis on September 15, 2011, called cycle power outage, focusing on four aspects: the form of the article, source of the article, formal frame of the article, and contents frame of the article. A total of 291 newspaper articles were examed in this study. Those were from Chosun Ilbo, Dong-A Ilbo, and Hankyoreh, the three major newspapers published in Korea. This research also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from September 15, 2011 to October 18, 2013 with an analysis of each period. The article format was more straight forward(62%) than in-depth. During the September 2011 period, the planning form and series form were predominantly impacted by the power crisis. In addition, most sources were from the government(46%), secondly from public enterprises(16%), and lastly from experts(16%). This result shown that the form of press coverage greatly relies on the government. In case of the formal frame, the episodic frame(67%) portion was more than the thematic frame(33%). The contents of the frame showed that economic important frame(41%) and responsibility frame(39%) were dominant. As time passes, the articles about the power crisis tended to increase more conflict but did not solve the probl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