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연구

초록/요약 도움말

이 연구는 어휘부 등재 단위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화하고, ‘형성 → 등재 → 변화’의 단계적인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의 등재 단위는 형태론적 단위인 접사․단어뿐 아니라, 통사론적 단위인 연어 구성․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 등을 포함한다. ‘형태’와 ‘통사’라는 상이한 범주에 속하면서도 등재소(listeme)라는 공통된 단위로 묶일 수 있는 이들 단위의 형성과 그 이후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 이 글의 주된 관심사이다.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제2장에서는 이 연구가 취하고 있는 문법의 모형과 단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언급한다. 형태론적 단위뿐만 아니라 통사론적 단위까지도 연구 대상에 포함하고 또 이들을 모두 등재소라는 공통된 기준으로 묶고 있는 이 글의 태도를 고려한다면, 과연 우리가 어떠한 이론적 문법 모형을 취하는지 먼저 밝혀져야 할 것이다. 등재를 문법 연구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파악하는 이 글의 입장에서는 문법 모형 내에서도 어휘부가 중심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초기 생성형태론에서부터 최근 한국어 형태론에 이르기까지, 단어 형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기존 어휘부 모형을 검토하면서 최종적으로 우리의 입장을 밝힌다. 특히, 형성 부문과 저장 부문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형태부․통사부 및 어휘부를 구별하는 점이 강조된다. 아울러 각 부문을 구성하는 단위에 관한 논의도 함께 전개한다. 그 결과, 제2장은 기존 연구의 성과를 검토하면서 이 글이 취할 이론적 태도를 밝히는 자리로 구성된다. 제3장에서는 ‘등재’ 단계를 정리하고, ‘등재’가 ‘형성’․‘변화’와 보이는 상관관계에 관해 논의한다. 1차적으로 등재의 개념과 그 속성을 살핀다. 우리가 등재소라고 판단하는 세 가지 유형의 대상(복합어, 연어 구성, 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일반 기준을 확립하는 장이다. 특히 언어 내적 등재와 언어 외적 등재를 구분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등재 기준에 접근하고, [정합성], [합성성]이라는 속성을 활용한 함수를 기초로 공시적 형성과 통시적 변화를 동시에 형식화한다. 한편, ‘형성 → 등재 → 변화’라는 이 글의 핵심적 틀이 제시된다. 그 과정에서 ‘가능어-등재어’ 기준, ‘개인어-사회어’ 기준을 설정하고 체계 내에서 포착되는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논의를 집중한다. 아울러 각 단위의 실재성 문제, 공시성․통시성 문제도 함께 거론한다. 제2장에서 선행 연구를 기초로 이 글의 문법 모형을 제시하였다면, 제3장에서는 몇 가지 기준을 토대로 이 글의 이론적인 체계를 확립하는 데에 관심을 기울인다. 제4장은 등재 이전의 ‘형성’ 단계에 관한 논의로 구성된다. 형성 단계가 지니는 공시성을 강조하고, 특히 공시적으로 활발히 형성되는 임시어를 대상으로 몇 가지 특징을 살핀다. 그 과정에서 단어 형성의 통합관계와 계열관계에 관한 이 글의 입장도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연구 대상으로는 ‘복합어’, ‘연어 구성’, ‘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의 세 가지 형성 유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들 대상에 각각 적용되는 등재의 조건을 기술하는 과정에, 제3장에서 확립한 α 여부가 그 기준이 된다. 단어 형성과 연어 구성 형성 사이에 포착되는 평행한 양상을 강조하는 한편, 문법적 기능을 실현하는 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까지도 앞선 두 대상과 동일한 틀 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진다. 제5장은 등재 이후의 ‘변화’ 단계에 관한 논의로 구성된다. 변화 단계가 지니는 통시성을 강조하고, ‘복합어’, ‘연어 구성’, ‘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변화의 일반 속성을 논의한다. 등재소 내적 변화와 등재소 외적 변화가 세 가지 대상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강조하여 그 일반성을 포착한다. 크게 ‘분석에 의한 변화’와 ‘단일화에 의한 변화’를 구분하고, 각각의 하위 유형을 정리한다. 특히, 단일화 과정은 ‘복합어의 어휘화’, ‘연어 구성의 숙어화’, ‘보조용언 구성․형식명사 구성의 문법화’의 세 방향으로 평행하게 실현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분석에 의한 변화 역시 세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변화의 유형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형성 → 등재 → 변화’의 단계적인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등재’가 단순히 기억의 절차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문법 연구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system between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listemes in the lexicon, and clarifies a stepwise correlation of formation → listedness → change. These listemes include not only morphological units such as affixes and words, but also syntactic units such as collocations, auxiliary verbs constructions, and formal nouns constructions. In chapter 2, I refer the basic points about the theoretical grammatical model and the concerned units of this paper. Above all, I should make clear the grammatical model, because syntactic units are included in a subject of this study as well as morphological units. The lexicon plays a central role in this study. Therefore, I look through existing theories from 70's generative morphology to recent Korean morphology that are related to the lexicon models, and establish my suggestions at last. Especially I emphasize two components, the formation component and the storage component. The former has the morphological component and the syntactic component, and the latter is the lexicon. In chapter 3, I define the listedness stage, and discuss a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and change. At first, the notion and features of the listedness are suggested. The three kinds of listemes such as complex words, collocations, and auxiliary verbs constructions/formal nouns constructions are established with the common criteria. Especially, the criteria divide listedness into two subclasses on the diversified side, the language internal listedness and the language external listedness, and formulate a function for synchronic formation and diachronic change with two features, coherence and compositionality. Besides the important frame of this study is suggested, formation → listedness → change. In this process, I establish the possible words - listed words criterion and the individual words - institutionalized words criterion, and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m, then also discuss existence issues, synchronic and diachronic issues.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formation which is a preliminary stage for the listedness, and emphasis the synchronic character of formation with nonce words. In this process, the standpoint of this paper will be revealed about syntagmatic relations and paradigmatic relations of word formation. And the three kinds of formations are examined with a α criterion that is established in chapter 3, then these objects are described with the conditions of listedness. The parallel character between word formation and collocation formation is discussed, and I try to explain the same frame for auxiliary verbs constructions and formal nouns constructions as well. In chapter 5, I investigate the change which is a next stage for the listedness, and emphasis the diachronic character of general language change with complex words, collocations, and auxiliary verbs constructions/formal nouns constructions. The listeme internal change and the listeme external change can be applied to the three kinds of objects, and the generality of them will be catched. The change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change through analysis and the change through univerbation. urthermore, the two types of change can be subclassified into three ways again. Especially, the latter is composed of the lexicalization of complex words, the idiomaticization of collocations, and the grammaticalization of auxiliary verbs constructions/ formal nouns constructions. Consequently, this dissertation argues the listedness is an important subject of grammatical study, not only a process of memory, by clarifying a stepwise correlation of formation → listedness → chan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