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투표율 제고방안의 모색 : 전자투표제를 중심으로
Search for an Effective Method to Raise the Turnout: Concentration on the Electronic Voting
- 주제(키워드) 도움말 투표율 , 전자투표제 , 사전투표제 , 투표 인센티브제 , 의무투표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갑윤
- 발행년도 2014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333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이 연구는 다양한 투표율 제고방안들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투표율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연령층의 투표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투표율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한국의 투표율 저하 현상 해결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이라는 전제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정치적 정향에 따라 각자 선호하는 투표율 제고 방안이 다를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2007년 제 17대 대통령 선거와 2012년 제 18대 대통령 선거의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3개의 가설 검증을 시도하였다. 다중회귀분석기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연구가설 1> “연령이 적을수록 전자투표제의 효과를 긍정할 것이다.”만이 분석결과와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7대 18대 대선 설문결과 모두에서 저연령층일수록 전자투표제의 효과를 긍정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반면 나머지 가설은 이 연구의 분석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소득이 낮을수록 투표 인센티브제의 효과를 긍정할 것이라고 보았으나, 오히려 그 반대로 소득이 높은 집단일수록 투표 인센티브제의 효과를 긍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 변수 역시 투표율 제고방안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지지하는 정당이 있다고 해서 의무투표제의 효과를 긍정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한국의 투표율 저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투표참여의 물리적 제약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줄 수 있는 전자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verify effectiveness of various methods to raise the turnout and suggest an adequate method that is compatible with the condition of Korea. I made an assumption that searching for the method that can increase voter participation among the young people is the most suitable solution to the decreasing turnout in Korea. Specifically, I focused on substantiating the hypothesis that the methods to raise the turnout could be different by the electorates’ socio-economic status or political attitude. This study examined three hypotheses based on the result of public opinion polls of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07 and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hypotheses, only the <hypothesis 1> “Younger voters will af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voting”, is proved to match the result of the analysis. From the result of both the 17thand 18th presidential election polls, younger generation tended to acknowledge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voting. On the other hand, the rest hypotheses did not match with the analysis outcome. I expected that the group with lower income would affirm the efficacy of the voting incentive systems, but on the contrary, those with higher income acknowledged the effect of voting incentive systems. Another variable, supporting party, also could not affect the assessment on the method to raise the turnout. Regardless of supporting party, people did not necessarily ap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ulsory voting.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claims that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which can significantly decrease physical difficulties of voter particip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turnout decrease in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