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멜로드라마 속 상호텍스트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환상의 커플>,<시크릿 가든>,<오로라 공주>텍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Intertextuality in Melodrama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멜로드라마 속에 재현되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멜로드라마는 그 장르적 특성상 다른 장르의 드라마에 비해 상호텍스트성이 높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각각 2006년, 2010년, 2013년에 방영되었던 멜로드라마 <환상의 커플>, <시크릿 가든>, <오로라 공주>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존 피스크(John Fiske)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개념과 박노현(2011)의 <텍스트 소환 기법의 유형>을 분석틀로 삼아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텍스트 분석 결과, 멜로드라마 속에 재현되는 상호텍스트성은 기존의 드라마 텍스트의 특정 대사 혹은 장면을 소환하거나 수평적 층위의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즉, 자기복제를 통한 상호텍스트성을 재현하는 방식에서 다른 매체의 매체적 특성까지 소환하는 매체확장을 통한 상호텍스트성 재현으로의 변화하는 방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상호텍스트성의 변화 양상이 의미하는 것은 작가의 사전 의도에 의한 텍스트적 전략이자 동시에 수평적 상호텍스트성에서 수용자들의 무의식적인 문화적 답습에 의한 지식이나 코드의 해석만으로 가능한 해석적 실천으로서의 수직적 상호텍스트성으로의 변화라는 것인데, 이는 드라마를 시청하는 매체 환경의 변화에서 그 1차적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기복제에서 매체확장이라는 변화는 오늘날의 우리 대중문화가 특정한 매체 혹은 특정한 문화에 무게중심이 편중되거나 독식하는 사회가 아니라 문화 간의 경계가 해체되는 즉,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멜로드라마 속에 재현되는 상호텍스트성의 분석틀로서 기존의 연구들에서 채택했던 수평적 상호텍스트성이 아닌 매체 간의 상호작용 즉, 상호매체성의 개념까지 아우르는 수직적 상호텍스트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of intertextuality represented in melodrama and the implications they have. In its nature, the genre of melodrama shows higher intertextuality than the dramas of different genres, and the present study selected <The Couple of Fantasy>, <Secret Garden>, <Princess Aurora>, melodramas broadcast in 2006, 2010, and 2013 respectively, and conducted analysis of these drama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of John Fiske and ‘types of text recall techniques’ of Park Noh-Hyun (2011)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The result of text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textuality represented in melodrama has the direction that changes to the representation of intertextuality through extension of media that recalls specific lines or scenes of existing drama texts or recalls eve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other media in the way of representing intertextuality by interaction with texts of horizontal layer, that is, by self-reproduction. The changing patterns of intertextuality are a textual strategy by prior intention of the author, and at the same time the primary cause of the change to vertical intertextuality as an interpretative practice that is possible only through interpreting knowledge or codes by unconscious cultural imitation of the recipients in the horizontal intertextuality could be found in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to watch drama.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pattern of change would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change called extension of media in self-reproduction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we are living not in a society in which our popular culture is weighted toward or monopolized by specific media or specific culture but in a society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cultures are disassembled, that is, in a post-modern society. Further,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vertical intertextuality that encompasses even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that is, the concept of inter-media q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intertextuality that previous studies adopt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intertextuality represented in melodram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