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이 인식한 사업의 효과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분석하고, 사업 참여 학생과 비참여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업사업 참여한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복지우선지업 참여 학생이 인식한 효과가 존재하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이 인식한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이 인식한 효과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간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소재 중학교의 사업 참여 학생과 비참여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학생의 배경변인 중 참여기간에 따른 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학력 수준에 따른 효과는 학습 프로그램과 심리·정서 프로그램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문화·체험 프로그램, 복지 프로그램, 심리·정서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순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사업에 참여한 학생이 인식한 효과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중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일 경우, 참여 학생이 인식한 사업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와 문화·체험 차원의 만족도 간의 정적 상관만 존재하였다. 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일 경우, 참여 학생이 인식한 사업에 대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와 문화·체험, 복지 차원의 학교만족도에서의 지표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세부적으로 문화·체험 차원의 학교생활만족도보다 복지차원의 학교생활만족도 부분이 높게 측정되었다. 심리·정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일 경우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영역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 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일 경우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 차원의 학교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학습프로그램을 제외한 다른 영역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업 참여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 중 학습 프로그램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 역시 가장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습 프로그램 영역이 교육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제시되어야 하며, 개인별 수준에 따른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perceived by the students receiving the benefits of the project and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etween the students participating and the students not participating. Specific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any effect exist which students perceive wh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effect perceived b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Thir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perceived by students participat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Lastly,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vel of satisfaction between the students participating and those not? To solve thi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2009 on the 172 students both who are participating and who are not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background factors of participating students, while participating period does not influence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the project, the effect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program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Second, participating students have positive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programs in the order of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welfare program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s. Third,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effect perceived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perceived by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s on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for those student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as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scored high on the effect of the project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and welfare programs registered high in their impa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more detail, welfare programs have mor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cultural and experience programs do. Students participating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marked significant results in all area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ence, through this study, it became apparent that,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ll programs with the exception of educational program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Last but not lea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display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eir non-participating counterparts . Educational programs scored the lowest i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n effec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us it necessarily follows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all have to be presented in a natural way in the overall educational process and should be composed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fit individual levels and need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