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의사소통 불안,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과제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Task Performance Proces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예경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융합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272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집단구성방식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집단구성방식에 따른 학습자 간 상호작용 효과를 학습자의 의사소통 불안 수준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살펴보기로 하였다. 또한, 집단구성방식이 협동학습 과제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학습자의 개인적 노력, 집단별 노력, 집단 만족도에 대한 평가와 협동학습 과정 성찰보고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협동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학습자의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2. 협동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 협동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학습자의 과제수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소재 S대학교의 학부생 58명을 대상으로 총 9주 동안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내향집단, 외향집단, 혼합집단으로 집단을 구성하고, 협동학습을 진행한 후, 의사소통 불안, 협력적 자기효능감, 과제수행과정(과제수행과정 검사, 성찰보고서)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학습에서 학습자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은 외향집단의 의사소통 불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외향집단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집단의 과제수행 노력과 집단 만족도에서 외향집단과 혼합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성찰보고서 분석 결과, 외향집단에서는 활발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보였으며, 학습자들은 높은 친밀감과 만족감을 표현했다. 반면 혼합집단에서는 몇몇 학습자들이 불만감을 표현했으며, 구성원 간의 갈등 상황도 발견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외향적인 학습자들로 구성된 집단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가장 성공적인 협동학습의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었다. 성공적인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친밀감을 바탕으로 활발히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고 문제해결과 합의도출 과정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learner's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on interaction among learners. To put it concrete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learners depending on the grouping method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individual efforts of learners, collective efforts and group satisfaction, and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see how the grouping method influences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in collaborative learning. Concret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Does learner's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learners? 2. Does learner's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 learner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3. Does learner's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influence task performance process of learners?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9 weeks with total 58 undergraduates in S University, Seoul. After dividing learners into an introversive group, an extroversive group, and a mixed group, based on their types of personality, and implementing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task performance process(task performance process test and reflective journal) were measured. As a result, firstly, learner's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the extroversive group.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n active verbal interaction in the extroversive group. Secondly, it didn'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hirdly, 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it did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efforts for task performanc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ctive efforts for task performance and group satisfaction between the extroversive group and the introversive group.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there was an active verbal interaction in the extroversive group, and learners expressed high intimacy and satisfaction. However, some learners in the mixed group expressed dissatisfaction, and conflict situations were found between memb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the most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of the group consisting of extroverted learners, and that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required to help learners do verbal interaction actively, based on intimacy, and experience the problem-solving and mutual agreement process sufficient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