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 교육 연구

A Study of Education of Rhetorical Grammar Strategy for A Persuasive Discourse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학습자가 직면하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언어 능력 중에서도, 설득적 의사소통의 능력이 가장 요구되고 있는 핵심 언어 능력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는 설득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 교육 내용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기존 국어과 교육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어온 설득 담화 교육 내용은 주로 ‘주장과 근거의 논리적인 내용 생성과 그 내용 구조가 갖는 타당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설득은 의사소통 참여 주체인 ‘화자’와 ‘청자’, ‘맥락’을 고려한 역동적 행위이며, 따라서 단순히 ‘논리적인 주장과 타당한 근거’만으로는 성공적인 설득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는 기존의 설득 담화 교육 내용이 설득적 의사소통에 대한 ‘부분적 교육 내용’에 그쳤다고 판단하였으며, 설득적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실제 언어 현상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에게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 교육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수사적 문법 전략을 통한 설득 담화의 수용과 생산’의 교육적 경험은 ‘맥락’과 ‘언어’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득 담화의 ‘의미’에 다가서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설득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이에 Ⅱ장에서는 수사적 문법 전략이란 ‘쓰기 규약’으로서의 문법 지식의 역할에서 출발한 것으로, 효과적인 쓰기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담화 이해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서의 문법 지식의 역할에 주목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수사적 문법이란 수사적 상황에 따라 적절한 문법 형태의 선택을 통해 실현되는 것인데, 수사적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의 목록을 정리해보는 작업을 통해 수사적 문법 지식이 설득 담화 수용·생산을 위한 ‘전략적 지식’으로서 기능 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고의 문제의식과 관련하여 기존 국어과 교육 내용을 ‘설득 담화 중심 교육 내용’과 ‘수사적 문법 전략 관련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살핌으로써, 수사적 문법 전략의 방법론을 활용한 설득 담화 교육 내용 설계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존 국어과 교육에서 설득 담화의 정전으로 다루어져 왔던 ‘논설문’, ‘연설문’, ‘광고문’, ‘건의문’에서 설득의 의미·기능을 실현하는 수사적 문법의 전략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수사적 문법이 설득 담화의 ‘기능’과 ‘주제 구현’, ‘장르적 특성’ 형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한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여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 교육의 목표’를 ‘수행성과 인식성을 높이는 문법 교육’의 차원, ‘설득 담화 중심의 영역 통합 교육’ 차원, ‘설득 담화를 통한 감성적 설득 교육’ 차원, 그리고 ‘설득 담화의 장르 교육’ 차원으로 나누어 설정하고, 각각의 목표에 따라 학습 활동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교육 목표에 맞추어 기존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검토,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의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육과정의 차원’과 실제 ‘교수-학습의 차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설득 담화의 수사적 문법 전략의 교육 내용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설득의 의미·기능을 실현하는 언어적 전략으로서 수사적 문법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 수사적 문법 전략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설득 담화 수용·생산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담화 중심 문법 교육, 장르 중심 문법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리라 본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e current study has taken note of persuasive communication as the most required ability out of all the abilities in regards to the linguistic life of a learn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content of rhetorical grammar strategy for a persuasive discours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ersuas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made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The content of the persuasive discourse that is repeatedly suggested in the education of the native language mainly involves ‘logic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the argument and basis along with the validity of the structure.’ However, this study states that persuasion is a dynamic activity that consists of the ‘speaker’, ‘listener’ and the ‘context’,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successful persuasion just with ‘logical arguments and valid basis’. For this reason, the current study has judged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nt for persuasive discourse as ‘partly educational’ and this can only get in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behind the communication, which results in a loss of meaning for the learner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content of rhetorical grammar strategy for persuasive discourse’ in order to develop the persuasive communication ability.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mbracing and production of a persuasive dialogue through the rhetorical grammar strategy’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and ‘language’ to focus on the ‘meaning’ of persuasive discourse. Therefore, the researchers believe that thi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persuasive communication ability’ of learners. Chapter II talks about the rhetorical grammar strategies including ‘writing conventions’ which is derived from the role of grammatical knowledge. Therefore the study has taken note of the role of grammatical knowledge in the importance of becoming a thought tool for understanding not only effective writing but also effective discourse. A rhetorical grammar is realized by the use of correct grammar forms according to the rhetorical situations an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function of the ‘strategical knowledge’ could be used in order to embrace-produce persuasive discourse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grammatical knowledge, which could be used in various rhetorical situations. Also, the current study divides and examines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of the native language between the ‘persuasive discourse centered education content’ and ‘rhetorical grammar strategy related education content’ that is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e study has aimed to search for a new direction for designing a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content,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rhetorical grammar strategy methodologies. Chapter III analyzed the rhetorical grammar strategies of the main elements, which help to realize the meaning-function of persuasion in the education of persuasive discourse, which are ‘rhetorical writing’, ‘text of speech’, ‘written advertisement’ and ‘suggestion tex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hetorical grammar was contributing in the formation of ‘ability’, ‘embodiment of theme’ and ‘characteristics of a genre’ in regards to persuasive discourse. Chapter Ⅳ sets up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s including ‘grammar education that increases performativity and cognition’ level, ‘education with persuasive discourse centered integration of the domain’, ‘emotional persuasive education through persuasive discourse’ level and ‘genre education of persuasive education’ which are subcategories of ‘goals of persuasive discourse rhetorical grammar strategy education’. There were inductively deducted from the persuasive discourse rhetorical grammar strategies discussed in Chapter III. The study made an attempt to restructure th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oal and furthermore examined the standards of accomplishment in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native languag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Factors of persuasive discourse rhetorical grammar strategy educational content were also extracted and through this the study has attempted to systematize the education content of persuasive discourse rhetorical grammar strategy in regards to ‘Level of Curriculum’ and actual ‘Teacher-Learner level’. This study suggests a rhetorical grammar strategy in order to provide a linguistic strategy to realize the meaning-function of persuasion, and puts significance on seeking the possibilities of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discourse and genre that is based on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embracing-producing persuasive discourses that has a background of rhetorical grammar strategy methodolog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