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설 어학원의 유아영어교재의 트렌드 변화 분석 : : 2년 차 개정판을 중심으로
Changing Trends of English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Learners in Korea Private English Institute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유아영어교재 , 사설 어학원 , 트렌드 변화 , 교재 분석 , 음성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박은성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271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인 조기영어교육은 1997년도부터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영어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오후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영어교육을 실시하였고, 많은 사설 영어 어학원이 유아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아들에게 맞는 교재의 구성, 유아의 언어발달 단계에 맞는 언어 소재 및 유아들을 위한 활동의 분량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이후 개발되는 유아용 영어교재 트렌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프렌차이즈를 운영하는 S 사설 영어 어학원에서 제공 되고 있는 연간 프로그램으로서 만 4세때 667시간 이상의 영어교육을 받은 만 5세 대상의 교재이며 매일 160분의 커리큘럼으로 제공 되고 있는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사설 영어 어학원에서 제공하는 유치부 교재는 1998년 교사용 지침서를 제공하며 첫 출시를 하였고, 2003년에 유아용 교재를 추가하며 2nd edition을 출시하였다. 2007년에 3rd edition을 제공하였으며, 2012년에 다양한 부교재들을 제공하며 4th edition을 출간하였다. 이와 같이 4번의 개정판에 이르기까지의 교재 구성의 변화를 비교하여 트렌드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공통 주제에 대한 언어 소재에서 유아 언어발달의 변화 및 범 교과 학습 내용의 포함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개정판에서 활용 되고 있는 과목의 출현 빈도수의 차이를 비교하여 변화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의 구성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면, 1st edition는 교사 지침서만 제공하였으나, 이후 학생용 교재 및 부교재 등이 추가되며 유아들이 조작할 수 있는 음성펜(interactive reading device)과 같은 멀티미디어 교재도 제공 되었다. 다양한 교재의 제공은 유아들의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 장점도 있으나, 유아들의 발달과 언어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제공 하는 경우는 우려할 점이라 생각한다. 둘째, 4개의 개정판에서 선정한 공통 주제의 유아 언어발달 단계와 범 교과 학습 내용 포함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단원과 연계성이 많았으며, 유아들의 생활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들로 구성 되어 있었다. 또한, 자기 중심적 언어와 사회화된 언어의 비율은 크게 차이나지 않았으나, 1st edition에서는 자기 중심적 언어 위주의 표현들이 많았고, 3rd edition에서는 사회화된 언어 위주의 표현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 밖에 교육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범 교과 학습 관련 내용 중 유아들 수준에 맞는 인성교육과 안전교육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언어영역 연계 과목과 주제와 연계된 활동 중심의 과목의 출현 빈도수를 살펴보면, 언어영역 연계 과목의 출현 빈도수는 개정해가며 점차 늘어났고, 주제와 연계된 활동 중심의 과목은 1st~4th edition에 이르기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논문의 분석을 바탕으로 이후 유아 영어교재를 편찬•개정시, 교재의 구성은 유아들의 수준에 맞는 분량으로 제공 되어야 하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언어습득에 효과가 있는 음성펜(interactive reading device)과 같은 멀티미디어 교재를 구성에 넣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유아들에게는 실생활과 연계된 주제와 범 교과 학습 관련 내용을 포함한 언어의 소재를 제공하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포함한 사회화된 언어로 구성된 교재가 제공 되어야 한다. 그리고, Phonics와 Story Time과 같은 언어 영역 관련 과목을 Song & Chant, Art & Craft와 같은 과목과 연계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 number of private English institutes for young learners in Korea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over the past years. Many of those institutes have used low-leveled or Kindergarten-leveled imported English teaching materials while others have developed their own English programs for young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Korean private English institutes’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learners with a view to suggesting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future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four editions of a Korean private English institute’s teaching materi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7-year-old learners who had over a year of English learning experience with a daily 160-minute program. The four editions were published in 1998, 2003, 2007, and 2012, respectively. The analysis model consisted of examining each edition for the following three changes: the compon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language material (content), and the frequency of the activities. The data from the mod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hree categories are presented below. First, comparing the compon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among the four editions, the number of components increased as the editions progressed. Many supplements were provided after the third publication in 2007, such as Reading & Writing, Online Reading Inventory, and Storybook Worksheet. Components in the fourth edition contained more multimedia resources, such as audio CDs, resource CDs, and interactive reading devices. Second, comparing the language material among the common themes of each edition, the English level increased in difficulty, and the content of the themes developed from self-centered content to content which considers others. Third, 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activities – language, song, games, science, math, story, phonics, etc. – among the editions, language-focused activities increased as the editions progressed.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the components of the teaching materials, language material, and activities of the English teaching materials are all important. However, teaching material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s the most important of all. Level-appropriate teaching material would be best for teachers as well as young learn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