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어 쓰기 지도를 위한 수준별 문장단위 오류 분석: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Error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entence-Level English Composition

초록/요약 도움말

In order to analyze the err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s, this study investigated 420 surveys and 1500 English writing samples from 60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wo groups were labeled class A and class B,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tudents' performance in examinations. Class A consisted of students with 70 points or more in an English examination, and class B with less than 70 points. The errors of students’ English composition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 inter-lingual errors, (b) intra-lingual errors, and by extension, each of the errors was categorized as follows: (c) grammatical errors, (d) lexical errors. First, the findings in analyzing this survey verified that written English and error corrections are not undertaken during the student-teacher class periods. Second, the results in this error analysis show that the errors within the target language wer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in both class A and class B. In particular, the rate of grammatical errors within the target language was the highest of all error rate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 A and class B in the frequency of intra-lingual grammatical errors. The grammatical error rate of class B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class A. The students in class B tended to demonstrate less clarity in grammatical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lead to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errors must definitely be dealt with by teachers and that teachers must design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reduce students’ writing errors.

more

초록/요약 도움말

본 논문은 영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 방안인 피드백 제공에 필요한 학습자 오류를 수준별로 분석한 것이다. 각각 30명의 A∙B학급(A학급: 2012년 1학기 중간∙기말고사 내신 영어 점수 평균 70점 이상 / B학급: 2012년 1학기 중간∙기말고사 내신 영어 점수 평균 70점 미만) 피실험자에게 설문조사 7문항(총 420문항)과, 영어 작문 테스트 25문항(총 1500 문항)을 주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교육 현장에서의 쓰기 영역 수업 현실과 실제 영어 쓰기에서 수준별로 흔하게 범하는 오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영어 작문 테스트에서 얻어진 오류 결과는 여러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한 모국어 간섭에 의한 오류와 목표언어 내 오류로 구분하였다. 더 나아가서는 각각의 오류를 문법오류와 어휘오류로 분류하여 분석해 보았다. 공교육 현장에서 영어 쓰기 교육의 현실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B 학급 학생들 모두 영어 학습 시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쓰기(writing)를 선택하였는데, 실제로 수업 시 쓰기 영역을 다루는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학급 36.7%와 B학급 13.3%의 학생들만이 영어 쓰기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교사가 수정을 잘 해주고 있다고 답변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교사의 수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준별 오류 분류에 따른 상세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국어 간섭에 의한 오류 비율은 문법오류, 어휘오류 모두 A∙B 학급의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목표언어 내 오류 비율의 경우 어휘오류 비율은 A∙B 학급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문법오류는 A학급 대비 B학급의 오류 비율이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목표언어 내 문법오류에서A∙B 학급 오류의 비율 차가 가장 컸던 항목은 관계사, 형용사, 대명사, 구두점 순 이였다. 위의 설문조사와 수준별 영어 쓰기 오류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쓰기 실력 증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