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이념성향 인식에 따른 오보에 대한 인식조사
Survey on the Awareness on False Reports Related to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Government Public Relations Manager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정부 홍보담당자 , 언론 정부관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신호창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언론대학원 홍보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268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민주화, 개방화 사회가 성숙될수록 국정홍보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인터넷․SNS 등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여 국정홍보의 중요한 수단이자 소통채널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언론은 정책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중요한 정책홍보 정책홍보의 중요한 수단이다. 언론은 정책 결정단계에서 정책 의제를 단순히 보도하는데 그치지 않고, 정책의제를 분석하고 해결대안을 제시하여 국민들이 정책에 대한 이해와 지지반대 의사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때문에 그 간 언론과 정부와의 관계, 정부와 언론 간 관계에 따른 보도태도 변화,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언론관계 인식 및 오보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다. 또한, 언론-정부 간 관계가 적대적인 경우 상호 주관적 인식의 차이가 더욱 커지고, 그에 따른 갈등으로서 오보의 문제가 커질 수 있다는 사실도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이 연구는 정부와 언론의 이념에 따라 정부-언론 관계, 보도 논조 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정부-언론 관계에서 언론과 직접 접촉하고 오보에 대응하는 정부 홍보담당자들에 집중하였다. 연구문제는 크게 다섯 가지로, 정부 홍보담당자들이 보수, 중도, 진보의 개인 이념 성향 인식에 따라 언론-소스 간 관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오보 개념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오보 발생 원인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오보 방지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언론보도의 정확성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이 등이다. 연구방법은 이명박 정부 홍보담당자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증 등이 사용되었으며, SPSS 12.0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홍보담당자들의 이념 성향에 따라 집단 간 몇 가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보수 성향 홍보담당자들은 언론-정부 관계가 협조적이고, 오보 방지를 위해 손해 배상 및 법적 제재 강화를 타 집단에 비해 주요한 요인이라고 인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타 집단에 비해 언론보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보수 성향 정부 홍보담당자들이 중도-진보성향 홍보담당자들보다 신문매체, 방송매체에 대한 보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수정부 하의 보수 성향 정부 홍보담당자들이 보수매체 보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둘째, 중도 성향의 홍보담당자들은 손해배상 및 법적 제재 강화가 오보방지에 있어 세 집단 내에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언론보도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타 집단보다 언론이 비교적 정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진보 성향의 홍보담당자들은 오보 발생 원인이 집단간 비교에 있어 취재원의 불충분한 정보공개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진보성향의 홍보담당자일수록 언론-소스 간 관계에서 소스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간 정부-언론 관계,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언론-소스 관계 인식,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오보 인식에 대한 연구 등에서 나아가 직접 언론과 접촉하고 정책홍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이념 성향 인식에 주목하여 집단 간 일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점을 발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하겠고, 이것은 향후 우리나라의 정책홍보 방향을 연구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중앙행정기관 등의 효과적인 정책홍보 전략을 마련하는데 미력하나마 기여를 하기를 바란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ere has been much prio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a, changes in reporting attitudes depending on that relationship, government public relations manager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edia, and an awareness of false reporting.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an awareness of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individual government public relations managers in responding to and recognizing false reports, and personally relating to the media as par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a. Examining this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a an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between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groups of government public relations managers concerning the conception of false reports and their own responses to such, will be a meaningful task in try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a. As a result of surveying 55 public relations managers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ir ideologies. Conservative public relations managers appeared to consider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media and strengthened legal sanctions and damage compensation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eventing false reports, and showed a tendency towards thinking that media reports were not so accurate, compared to the thinking of other groups. Moderate public relations managers appeared to feel that the strengthening of legal sanctions and damage compensation was less important in preventing false reports, and felt that the accuracy of media report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groups. Liberal public relations managers showed a tendency towards thinking that the cause of false reports was inadequate information disclosure by sources, and the more liberal the public relations manager, the more they seemed to feel that active engagement by a source was most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the sour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