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학의 '갈등'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for teaching for literature of 'conflict' education

초록/요약 도움말

우리의 삶 자체가 갈등이라고 할 만큼 삶과 갈등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삶을 반영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한 문학 역시 갈등과 긴밀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문학의 갈래를 불문하고 갈등이 두루 나타난다는 점을 전제하고, 갈래별 특성을 고려한 문학의 ‘갈등’을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갈등의 해결 국면에 주목하여 작가가 그려내고자 주제를 밝혀내는 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갈등심화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2009 교육과정의 2011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 중에서 갈등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모든 교과서에서 수용하고 있는 4분법의 갈래 구분에 따라 모든 갈래의 작품을 다루었다. 특히 소설은 완결된 작품을 제시하기 위하여 단편소설로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14종의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문학의 갈등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고 갈등 교육이 소설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부분적인 장면 위주로 갈등을 교사가 지식 위주로 주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서정과 교술, 극문학을 포함한 모든 갈래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방법론적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장르의 특성을 고려하여 갈래별 ‘갈등’ 교육을 위한 탐색 질문과 요소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갈등의 해결 국면을 통해 작가의 주제의식을 탐색하는 활동을 다루었다. 갈등은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는 중심적인 기능을 하며 작품을 형상화한다. 특히 갈등의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주제의식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으로 나아갔다. 갈등의 해결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주제의식을 분석하였는데 긍정적 해결과 소망적 주제의식, 부정적 해결과 비판적 주제의식, 미해결과 판단 중지의 주제의식이다. 다시 긍정적 해결은 ‘완전한 해결’과 ‘불완전한 해결’로 나누고, 부정적 해결은 ‘좌절’과 ‘파국’으로 나누고, 미해결은 ‘상황의 지속’과 ‘해결의 길이 없음’으로 세분하였다. ‘완전한 해결’은 정지용의 시 「장수산 1」을, ‘불완전한 해결’은 김수영의 시 「눈」과 박인로의 「누항사」, ‘좌절’은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을, ‘파국’은 조세희의 소설 「뫼비우스의 띠」를, ‘상황의 지속’은 이근삼의 희곡 「원고지」를, ‘해결의 길이 없음’은 이범선 원작의 각색 시나리오 「오발탄」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은 Ⅲ장의 활동을 이어 학습자 중심의 갈등심화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든 학생들이 두루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집단 토의, 개별적인 글쓰기, 소집단 대표 토론을 활용하였다. 심화학습방안은 작품에 나타난 갈등을 분석한 후 비평과 창작으로 이어지는 활동이다. 구체적인 활동은 갈등 중심으로 작품 비평하기, 인물의 성격과 배경을 바꿔봄으로써 갈등을 다른 방식으로 바꾸어 해결하기, 갈등을 쟁점으로 한 독서토론이다. 학습자가 문학 작품에 나타난 갈등을 보다 주체적으로 분석하고 풍부하게 감상하며 자신과 우리 주변의 삶을 폭넓게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문제 해결능력을 키는데 유의미한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문학의 갈등을 우리 삶의 현실에 적용하는 ‘문학을 통한 삶의 교육’이라는 의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갈래의 양식적인 특성을 고려한 갈등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모형 제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다. 앞으로 이 논의와 관련하여 갈등의 해결과 작가의 주제의식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과 학습자 중심의 심화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Conflict is closely related to life. The biggest problem in our society is conflict, too. Literature reflects a society sharply. Most literature has conflict regardless of literary genre. Conflict is a critical factor of teaching and learning literature and attract the students’ interes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s to teach a literature through conflict-centered approach, paying attention to the resolution of conflict. The study explored the writer’s intended topic through Learner-centered activities. Learners’ ability to solve a problem has been improved after studying the conflicts of literature. Revised 2011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n 2009 curriculum were chosen as target works well-revealing the conflict in the study. In chapter Ⅱ, the study was done by collecting fourteen kinds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nd analyzing status of conflict of literature education. Conflict education has been mainly showed in the novel and has dealt with partial scene by analyzing cause and aspect of conflict. The study presented main questions and elements to understand conflict by considering genre. Central ele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peaker and emotion in poems, character and narrator in the epic story, and character and stage setting in the dramatic literature and the author's experience and realization through the experience in essay. The author’s topic was explored through conflict resolution in chapter Ⅲ. Conflict plays a central role representing the theme of the work. This study divided conflict resolution into three types and analyzed subject consciousness; positive solution and hopeful subject consciousness and negative solution and critical subject consciousness and an unsolved problem and suspension of judgment in subject consciousness. Positive solution is divided into ‘perfect solution’ and ‘imperfect solution’. Negative solution is divided into ‘frustration’ and ‘catastrophe’. An unsolved problem is divided into ‘continuing situation’ and ‘insolubility’. Positive solution was dealt with 「Jangsu-san 1」 of Jeong Ji-yong. The imperfect solution was dealt with Kim Su-yeong's 「snow」 and Park In-ro’s 「nuhangsa」. Frustration was dealt with Kim Seung-ok's novel 「Mu-jin tour」. Catastrophic was dealt with the Cho Se-hee’s novel 「Möbius strip」. Continuing situation was dealt with Lee Geum-sam’s play 「manuscript paper」 and insolubility was dealt with a scenario 「Wrong shot the bullet」. The chapter Ⅳ, presented advanced learning methods about activity and related conflict of the chapter Ⅲ. The goal of this activity is to help the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s themselves. In the methodological respect all activities were condu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personal writing for all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Criticism on works and change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s and discussion about conflict were the detailed activities. The study showed that conflict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ll genres of literature. The study presented not cramming education by teachers, but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udy also presented the educational meas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parts, but didn’t create a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I hope the study analyzing conflict and subject consciousness in detail will be done and various researches for learner-centered advanced learning methods will be done in the near fu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