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육과정 부합(Alignment)에 의거한 서술형 평가 문항 분석 : 인지적 노력 수준과 수학적 숙련도에 따른 서술형 평가 문항 분석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 based on curriculum alignment

초록/요약 도움말

서술형 평가는 학생들이 답을 보기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답을 스스로 구성하여 서술하는 평가 방식이다. 따라서 서술형 평가는 지식과 이해와 같은 기본적인 사고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력,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을 평가 할 수 있어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서술형 평가의 성격과 목표가 실제 정기고사에 제시된 서술형 평가 문항과 얼마나 잘 부합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정기고사에 제시된 서술형 평가 문항을 수학 과제 분석틀(Mathematical Task Analysis Guide)과 수학적 숙련도(mathematical proficiency)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문항의 인지적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반영되도록 정기고사의 서술형 평가 문항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가?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45개의 학교 정기고사를 수집하였고 총 199개의 서술형 평가 문항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서울시 교육청과 경기도 교육청에서 제시한 서술형 예시 문항을 분석하여 학교 정기고사의 서술형 문항과 인지적 노력 수준을 비교하였다. 수학 과제 분석틀뿐만 아니라 수학적 숙련도를 이용하여 문항을 효과적으로 분석하였고 모든 문항에는 분류 기준을 적용하였다. 수학 과제 분석틀로 서술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높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High-Level 문항은 30%, 낮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Low-Level 문항은 70%로 나타났다. 특히, PNC 문항은 62%로 4가지 인지적 노력수준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수학적 숙련도에 따른 분석 결과, 문항에서 요구하는 능력의 비율은 계산 89%, 이해 45%, 적용 30%, 추론 17%로 나타났다. 시⋅도 교육청에서 제시한 예시 문항 분석결과, High-Level 30%, Low-Level 70%로 정기고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전반적인 서술형 문항은 계산 능력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학적 이해를 발전시키기 보다는 단순한 절차를 기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서술형 평가 문항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고등 사고 능력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계산 능력만을 요구하는 문항은 38%로 나타났다. 서술형 문항은 학생들이 답을 스스로 구성한다는 점에서 선다형 문항과 차이가 있었을 뿐 내용적인 측면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적 노력수준을 파악하기에는 제한적이었다. 시⋅도 교육청에서 제시한 문항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문항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안목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문항을 통해 수학을 학습하고 수학적 힘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수학적 능력이 포함되도록 문항을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예비교사는 문항을 선택하여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Constructive-response assessment is not to select answer among the examples but to construct and write answer. Also, this assessment has stressed in mathematics curriculum because it estimates students' mathematical knowledge, understanding as well as higher thinking ability such as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in regular test was in alignment with the nature and goal of 2007 revised curriculu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a)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in terms of cognitive demand and mathematical proficiency in regular tests for high grades. b) how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are in regular test for high grades in alignment with 2007 revis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 collected 45 regular test and analyzed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 according to Task Analysis Guide and examined proportion of mathematical proficiency in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Also, I analyzed the example suggest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compared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with these examples. This study adopt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cognitive demand showed that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are at low-level 70% and the rest at high-level. Especially, PNC items indicated the highest percentage in cognitive demand levels as 62%. The finding of the mathematical proficiency are that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contained conputing (89%), understanding(45%), applying(30%) and least reasoning(17%). The analysis of the exampl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wed similar result of the analysis for cognitive demand in regular test.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Most of the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included computing and were algorithmic. Also, these questions are not included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2007 revised curiculum but included only computing as 38%. Difference between constructive-response questions and a multiple-choice items was only to descript answer and it is difficult that teachers don't grape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From this result, Many teacher are not capable of classifying and analyzing tasks. Hence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should provide tasks to gain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so 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