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문학 주제 교육 방안 연구 : ‘가족 갈등’ 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matics fo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Based on ‘Family conflict’ in literature

초록/요약 도움말

교육이란 학습자의 성장에 기여하는 것이어야 하며, 문학 교육 역시 문학과 함께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의미 있는 성장을 지향해야 한다. 그러나 많은 학습자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문학을 등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왜 많은 학습자들이 문학을 통한 성장을 포기하는가라는 의문과 함께, 학습자들이 진정 문학 수업을 통해 성장을 경험했는가에 대한 고민을 남긴다. 그리하여 본고는 지금까지의 문학 교육이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교육이 되지 못했다는 반성에서 나아가, 주제를 중심으로 연계된 문학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하고 스스로의 삶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문학 주제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이때 '문학 주제 교육'은 중심 주제 하에 연계된 작품들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주제의 반복 및 확장을 읽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내면화에 접근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의미한다. 이는 다양한 작품을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느슨하게 연계시켜 교육적 경험을 구성해내는 일련의 과정으로, 주제의 이해에 깊이를 더할 뿐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구성할 수 있어 보다 폭넓은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작품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에 본고는 Ⅱ장에서 내면화의 의미와 내면화 교육의 현황을 밝히고,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문학 주제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 이는 ‘계획-진단-지도-평가’의 4단계를 가진다. 본고는 ‘가치의 내면화’ 자체가 하나의 단계로 설정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으며, 가치의 내면화가 모든 단계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 이를 모형을 통해 가시적으로 드러내었다. Ⅲ장에서는 『문학Ⅰ·Ⅱ』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소설을 선정하였다. 박완서의 「나목」,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 이청준의 「눈길」, 오탁번의 「아버지와 치악산」, 최일남의 「흐르는 북」,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 박완서의 「꿈꾸는 인큐베이터」, 이순원의 「말을 찾아서」의 총 8작품을 교육적 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분석한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밝힌 모형을 바탕으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문학 주제 교육’이 문학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주제의 맥락을 반복하는 ‘문학 주제 교육’이 실천되는 과정 속에서 학습자가 의미 있는 성장을 경험하길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Education ha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students. And literary education also has to aim at the meaningful growth of students. But most students neglect literature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This raises questions such as ‘Why do many students give up growing by literature?’ and ‘Did students truly experience growth by literature?’. So this thesis reflects on the literary education so far that hasn’t moved forward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Consequently this thesis suggests ‘th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matics fo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in order for students to actively enjoy works of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central themes and they can apply it to their lives. At this time, ‘Th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matics fo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is a method to allow access to effective internalization because it enables students to read expansions and repetitions of the themes by presenting various works of literature related to the central themes. This is a series of processes, to create educational experiences, which is connected to various themes of literature, so that it leads to extensive learning from diverse activities as well as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mes.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specific themes and has a very positive impact on how students look at the various aspects of themes of literature. Therefore, in section Ⅱ, I clarify the meaning of internalization and refer to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for internalization. And I develop the model of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matics fo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It has four stages, 'Plan-Check up-Guidance-Evaluation'. And this thesis raises a question of whethe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sets up one stage. So I illustrates the model that shows visibly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that can be applied flexibly in all stage. In section Ⅲ, I select novels based on ‘Family conflict’ in literature textbook (『LiteratureⅠ·Ⅱ』). They are ‘「나목(A leafless tree)」by Park Wan-seo, 「도요새에 관한 명상(Deep thinking about Toyosae bird)」by Kim Won-il, 「눈길(Snowy Road)」by Lee Cheong-jun, 「아버지와 치악산(My father and Mt. Chiak)」by Oh Tak-Beon, 「흐르는 북(Flowing drum)」Choi Il-nam , 「마당깊은 집(House which has a deep yard)」by Kim Won-il, 「꿈꾸는 인큐베이터(Dreaming incubator)」by Park Wan-seo, 「말을 찾아서(Looking for a horse)」by Lee Sun-won’. I construe 8 novels for using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in section Ⅳ, I suggest direction of the class based on the models showed in section Ⅱ.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achieve effective internalization in literary education by ‘the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matics fo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in the process, I expect students truly experience the growth by litera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