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심리적 부모화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Fear of Intimacy: The mediating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성장기 부모와의 관계에서 부모를 배려하고 보살피면서 성인의 역할을 하는 심리적 부모화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리적 부모화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경기 거주 성인 남녀 383명(N=383)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심리적 부모화 경험이 많을수록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 성향이 높아지고, 불안정 성인애착 성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이 증가하여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경로구조모형이 자료와 잘 부합되는 좋은 적합도를 보여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부모화 경험이 많을수록 애착불안이 증가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아져서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왔다. 한편 심리적 부모화 경험이 많을수록 애착 회피 성향이 높아지면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도 가중되었다. 하지만 애착회피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직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심리적 부모화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성장기에 부모-자녀 관계에서 심리적 역할 전환 경험을 한 것이 성인기에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정서적 부모화와 불공정성으로 대표되는 심리적 부모화 경험이 부모화 경험의 핵심임을 확인하고, 심리적 부모화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를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하는 요인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초기 성인기에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

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fear of intimac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influences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fear of intimacy. Results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383(N=383)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and the AMOS 18.0. The proposed model with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evel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creas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sequently increased the level of fear of intimacy, had good fit indice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on fear of intimacy was fully mediated by attachment anxie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hile the attachment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fear of intimacy. Current findings indicated that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fear of intimacy. Findings extend the literature on the core factors of parentification as represented by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unfairness. Differential findings regardi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arentification and fear of intimacy add to the extent literature on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