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제 경험이 대졸자 괜찮은 일자리 진입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Decent Job Effectiveness of Internship Program Experience for college graduate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인턴제도 , 괜찮은 일자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김진욱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260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논문은 대학생들이 인턴제를 경험하면 괜찮은 일자리 진입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다시 말하면 첫 직장에 진입하기 전에 정부지원 인턴제 혹은 대학교 인턴제 프로그램을 경험하면 괜찮은 일자리 진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보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학생직업이동경로조사의 2010년 자료(5차)를 활용하였다. 총 패널의 수는 18,197명이고 첫직장 경험자, 취직여부 응답자, 19~30세 사이의 사람 그리고 교육대생을 제외하여 총 4,053명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이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대학교 인턴제프로그램의 경험은 괜찮은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부지원 인턴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계소득과 성별, 전공, 학교 등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가 갖는 의미는 학습수준과 대학교 진입에 영향을 주는 가계소득이 이제는 괜찮은 일자리 진입에까지 영향을 미쳐서 빈곤의 문화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정부가 지원하는 인턴제 프로그램은 괜찮은 일자리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빈곤에서 탈출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인턴제도는 청년층을 노동시장 이행으로 이끌 수 있고 괜찮은 일자리의 진입에도 영향을 준다. 이런 인턴제도를 잘 운영하고 있는 부분을 벤치마킹하고 정부차원에서 개선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This study is to analyse decent job effectiveness of internship program experience for college graduates. In detail, it intends to evaluate if college graduates participated government internship program or college internship program may get decent job before that college graduates get first job. Data used in this study ar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2010GOMS) i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0GOMS have 18,197 panel. This study excluded not experience first job, not answered doing job, not 19~30 aged and graduated college of education used 4,053 panel.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he result shows college internship program gave positive effect for decent job. But government internship program gave negative effect for decent job. House income, sex, major, college etc. variable gave effect for decent job. The implications are followings. House income given effect learning level and college level give effect for decent job. So they are continuing culture of poverty. If they participate government internship program, this experience gave more of negative effect for decent job. So they don't escape from poverty. Commonly internship program gave effect for decent job and led younger generation to labor market. It need to benchmark good internship program of college or etc. And the government internship program need to improve for young gener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