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chool Sports Club League Management in Seoul
- 주제(키워드) 도움말 학교스포츠클럽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용철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도움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25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는 서울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의 초기 단계부터 지금까지 사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한 실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반적인 상황을 알아봄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발전에 도움을 주고 다른 지역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를 정착시킬 수 있게 기초자료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로는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6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고 느끼면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자료 수집은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면담자료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연구경험이 있는 전문가 1인과 함께 검토가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 과정은 현장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생각과 행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후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전문가 1인과 함께 하여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의 전반적인 상황을 알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효과와 리그 사업의 발전을 막고 있는 장애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교스포츠클럽 리그가 발전을 하고 정착을 하기 위해서는 첫째, 많은 학생들이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고 둘째, 아이들을 지도 감독하는 교사들의 교육이 필요하며 셋째, 학교체육이 아닌 학생체육으로의 전환이 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는 학생들만의 리그가 아닌 사회 전반적으로 관심이 필요하며 노력을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more초록/요약 도움말
In this study, as a case study of school sports club league management in Seoul It is looking into school sports club league management through members story from Starting stag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orts club league management and problems of that. In response to those This study suggests overcoming of that and ways for fixed of sports club league. In basis of above results, it is the important tasks for school sports club league manage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