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6학년의 수동적?능동적 영어 어휘 성취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of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Knowledge on 6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 주제(키워드) 수동적 어휘 , 능동적 어휘 , 어휘 성취도 평가 , 초등학교 6학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요안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7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 어휘를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읽고 이해하는 수동적 어휘지식과 직접 문장에서 사용하여 말하고 쓸 수 있는 능동적 어휘지식의 사용능력을 측정하여 영어 학습능력과의 관련, 품사에 따라 어휘지식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고빈도 어휘를 학습할수록 수동적, 능동적 어휘지식이 수월하게 향상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West(1953)의 General Service List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권장 이수 단어 798개를 대조하여 어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현 초등학교 6학년의 어휘 실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와 같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 맞는 어휘 지도 방법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다. 1. 영어 학습능력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품사의 종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품사별 빈도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 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어휘의 빈도순위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 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모국어와 외국어의 어휘 습득 양상을 알아보고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이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되는지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을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본 후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을 측정하는 평가지를 고안하여 서울 M초등학교 184명 대상으로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을 영어 학습능력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었을 때,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성취도 평가 점수가 높았고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점수 차가 크게 나지 않았다. 반면 영어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은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간의 차이가 컸고 성취도 평가 점수 또한 낮았다. 이를 통해 영어 학습능력과 어휘 습득에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품사에 따라 어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명사, 동사, 형용사, 기타(조동사, 전치사, 부사)에 따른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점수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품사는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사별 빈도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통계분석한 결과, 명사와 동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형용사에서는 GSL에서 빈도의 순위가 높을수록 단어의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GSL의 빈도순위가 높을수록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높을 것인가에 대한 가설의 결과는 빈도수는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능동적 어휘에선 빈도수 순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이는 GSL이 문어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데에서 온 결과로 보인다. 초등학교 영어의 목표는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므로 구어 코퍼스의 빈도수도 참고하여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에 관련된 과제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향상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초등학교의 궁극적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므로 실제로 단어를 사용하는 능동적 어휘 능력에 주목해야한다. 이에 교사는 학습자가 직접 발화해보고 써 보는 능동적 어휘능력 향상 과제를 제시해야 하고, 품사는 아직 초기 학습자인 관계로 명시적 지도 대신 문장 안에서 단어의 연계성을 자연스레 익히도록 하며, 고빈도 어휘라 할지라도 초등학생의 사용역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그들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어휘를 선정하여 지도해야한다. 또한, 어휘는 단시간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므로 교실 수업에서 꾸준한 노출과 반복을 통해 내재화시킬 수 있는 교수법과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