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집행모형으로 분석한 생활폐기물정책의 효과성 제고요인에 관한 연구 : 쓰레기 종량제(1995~2004)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ousehold Wasted Management Policy by Policy Implementation Models -Focused on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1995 ~ 2004)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김성욱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환경정책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76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정책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나 통상 행정적인 의미로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 의해 결정된 행동방침''으로 풀이된다.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는 모든 행동은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받으며, 결국 정책의 성공 여부는 정책을 실행한 정권의 성패와도 연결이 된다. 이렇듯 정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뇌리 속에 정확히 인지되어 실천되고 있는 정책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정책의 성공과 실패는 정책 대상자들의 ''가치''가 개입되어 있는 만큼 섣불리 단정지을 수는 없다. 같은 정책이라도 가치관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성공 혹은 실패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집행의 성공을 평가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로 설정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정책목표의 달성이다. 본 연구의 주제인 ''쓰레기 종량제''는 정책목표의 달성이라는 측면에서 성공적인 정책이라 볼 수 있다. 쓰레기 종량제 시행 이후 쓰레기 발생량은 10년 동안 22.6%가 감소하였고, 재활용 비율은 17.5%가 증가하였다. 또한 쓰레기 종량제는 시민 각자에게 쓰레기 배출량에 대한 책임의식을 고취시켜 절약정신과 환경보전의식을 함양하고 기업에는 과대포장 금지, 1회용품 생산의 자제 등 환경친화적 경영을 유도하였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에는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고 대시민 청소행정, 서비스 개선의 계기 또한 마련되었다. 쓰레기 종량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도 시행 전후부터 선행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경제성 효과 분석으로 정책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기후변화문제가 범지구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고 국가별로 다양한 환경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정책적 측면에서의 실증적 고찰은 향후 유사정책의 집행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책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후 이를 쓰레기 종량제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별적인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등에 관하여 기술하였고, 제 2장에서는 쓰레기 종량제 및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 3장에서는 쓰레기 종량제도에 대한 개념 및 법적 근거, 기본원칙, 성과 평가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경제적 효과 분석은 환경부에서 발간한 쓰레기 종량제 10년 성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 4장에서는 쓰레기 종량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집행모형을 재설정하였다. 여기에는 정책내용, 정책집행조직, 정책집행대상, 정책집행환경을 독립변수로 삼고 종량제의 시행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각각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잘한점 및 미흡한 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고 향후 유사 정책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먼저 효과적인 정책집행을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명료한 정책내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평가 점검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을 추진할 예산이 지원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책집행기관의 위상 강화 등 집행자의 강력한 의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쓰레기 종량제의 경우 환경청이 환경부로 격상되는 등 환경행정에 대한 기존의 ''소극적 행정''이 ''적극적 행정''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정책집행대상자들의 지지를 얻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데 정부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무상 지원 등 대상자들의 소득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제시함으로써 종량제 정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유도할 수 있었다. 더불어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언론과 대중매체의 프레임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환경정책의 경우 언론의 지속적인 환경캠페인은 국민들에게 정책을 알리는 데 매우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며,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기업의 자각, 정부의 정책개선을 이끌어가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쓰레기 종량제가 확대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특히 시민들의 자발적인 적극적 참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시민 단체들의 대주민 홍보 및 교육, 강좌 등 참여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more초록/요약
The word "policy"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However, in commerce and administration, it is interpreted as "action plans set by government to solve public problems". All actions of citizens in their daily lives are more or less influenced by government policy and, therefore, the success of policies is directly linked to success of the administration that proposes and implements the policy. Despite the important role the policy plays in our lives, in reality there is only a few policies in practice that are clearly recognized in the mind of ordinary citizen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achieving policy objective, it can be viewed as a successful policy. Since implementation of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the product of waste material has decreased by 22.6% for last 10 years and the recycle rate has increased by 17.5%. In addition,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has encourage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amount of waste materials produced by each citizens, instilled in them the spirit of thrift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Moreover, it induced corporations to implement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such as restraint on over-packaging and production of disposable products. Lastly, it laid the foundation for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to implement sanitize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as well as civic cleaning administration and improvement in sanitation.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but they were mostly analysis of economic efficiency and policy researches were entirely lacking. However, the climate problems are becoming a global issue and many countries are proposing their own environmental protection program. Consequently, empirical consideration of policies is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similar policies going forward. Accordingly,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policy execution process and then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variables that arises from implementation of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To be specific, in chapter 1, the paper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In chapter 2, the factors that affect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and policy execution were given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hapter 3, the survey of concept, legal foundation, basic principles, achievement and results pertaining to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was conducted. In particular, in terms of analysis of economic effect, the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10 year evaluation result of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chapter 4, the core section of this paper, policy execution model was reformula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Her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licy content, executive organization, the group affected by the policy, and policy execution environment.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outcome of the meter-rate system according to each variable. Using this model, strength and deficiency of the policy with respect to each variable were analyzed. Finally, in chapter 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briefly summarized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or similar policies in the futur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or effective policy execution, specific and clear policy contents are most critical. Also, there must be institutional support for continued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the policy. Moreover, the budget to support policy implementation must be secured. There must exist powerful support from policy makers such as reinforcing the status of policy executive organization. In the case of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Office of Environment was promoted to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re were other changes that upgraded "passive administration" to "proactive administration".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gain support of those who will be affected by policies. Government, by proposing a customized policy that took into account the income of those who will be affected by policy such as distribution of free waste bags for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was able to effect positive images of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Moreover, for success of policy, it is critical to form framework of common understanding for public media.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the sustained environmental campaign through public media is a very effective policy measure to inform the public about the policy. It is also a very important tool to allow the public and corporations to reconsider thei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ffect government''s policy improvem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research suggests various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Fee System". What is critical i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all citizens. Moreover, the policy execution must be accompanied by various efforts to spread promotion, education, lectures and get the citizens involved in the progra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