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적 성과측정시스템이 관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지모형발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PMS" , "성과측정시스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김순기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전문대학원 회계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74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Prior studies put an importance on understanding how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PMS) affect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Psychological theories implicate that PMS influence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cognitive and motivational mechanism. Even though Hall(2008), Burney and Widener(2007) and Burney et al.,(2009)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ol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mechanism through role clar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these studies do not investigate how PMS improve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updating mental model and developing learning capabilities. Also, prior studies show that managerial control systems(MCS) may disturb the learning process(e.g., Argyris, 1997; Hedberg and Jonsson, 1978; Staw and Boettger, 1990);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ers examine that MCS may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amplifying curiosity and questioning underlying logics(e.g., Chenhall, 2005; Henri, 2006b; Kaplan and Norton, 1996).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the particular attribute of MCS that may affect learning process positively, and posits this attribute of MCS influences learning process in a positive way. This study highlights how PMS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via updating and changing mental model, which is individual learning proces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of comprehensive PMS, learning at the managerial level, and managerial performance. Consequently, the result shows that more comprehensive PMS can help managers confirm their mental model related to business operations and build a new mental model about their business operations. Also, mental model building has positive association with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mental model confirmation does not show positive association with managerial performance.
more초록/요약
기존 관리회계 연구는 성과측정시스템(PMS)이 어떻게 개인 혹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심리학 이론은 PMS가 인지적, 동기부여적인 기제에 의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Hall(2008), Burney와 Widener(2007), Burney 등(2009)이 역할명확성, 조직정당성 등의 인지적, 동기부여적 기제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으나, 이들 선행연구들은 PMS가 어떠한 방식으로 개인의 인지모형을 업데이트하고 학습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MCS가 학습과정을 방해하기도 하며(Argyris, 1977; Hedberg와 Jonsson, 1978; Staw와 Boettger, 1990), 호기심을 증폭시키고 기존의 논리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하는 것에 의해 학습을 장려할 수도 있다(Chenhall, 2005; Henri, 2006b; Kaplan과 Norton, 1996)은 상반된 주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논의에 있어 관리자의 인지모형의 발전을 도와주거나 혹은 방해할 것으로 기대되는 MCS의 특정 속성에 대한 관심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S가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속성(통합성 혹은 포괄성)에 대해 정의하고, 이러한 특정한 속성을 지닌 MCS(CPMS)가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학습의 과정으로 제시된 인지모형의 업데이트와 변화 과정이 성과측정시스템(PMS)가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 PMS(CPMS; comprehensiv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와 관리수준의 두 가지 유형의 학습-인지모형확인과 인지모형형성-, 그리고 관리적 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더욱 포괄적인 형태의 PMS는 관리자들이 그들의 비즈니스 운영과 관련된 인지모형을 확인하고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인지모형의 형성과 관리성과는 강한 양(+)의 유의관계를 갖는 반면, 인지모형의 확인과 관리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