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상제작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vie Making Activitie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effects of Movie Making Activities on self-esteem,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in adolescence is a significant problem faced during adolescence, a period that is important in forming self-identity and sociality. In particular, because school maladjustment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exposure to crime and may have negative effect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ward adulthood, these adolescents may grow to become members of society with a sense of loss and deprivation in their own lives. Out of various experience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adolescence, Movie Making Activities can induce sufficient satisfact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having verified its effects on positive growth of adolescents in previous studies. Although Movie Making Activities by adolescents are being conducted in schools and relevant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there are few cases and littl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for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Movie Making Activities centered on school life and human rights, and in particular, to identify its effects on self-esteem,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to examine its contribution to the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in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Jeju City selected by the teachers' grade scale and teachers’ recommendation. The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former conducted image production activity. Pre- and post-tests of self-esteem,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both group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results.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ut of the three variabl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the Movie Mak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two variables. Also, the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of the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ere positive after the program, demonstrating that the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dolescent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research papers identifying effects of Movie Making Activities by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and effects of the activity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From the analysis of qual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nd self-estimation of the subjects, there may be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vie Making Activities induces interest and attention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and affects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via a structured process to reduce school maladjustment and to enable positive growth of the adolescents. Thus, Movie Making Activities may be useful as education program to resolve maladjustment not only in schools but in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adolescent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상제작활동을 실시하여 영상제작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기에 학교에 적응을 못하고 있다는 점은 자아정체성 형성과 사회형성에 중요한 청소년기에 당면하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학교부적응은 나아가 각종 범죄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성인으로 가는 과도기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기 삶의 주체자로 살아가는데 있어 상실감과 박탈감을 가지고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청소년기에 다양한 체험 및 인성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데 그 중 청소년 영상제작활동은 매우 높은 만족도와 성취감을 얻을 수 있고, 이미 여러 연구에서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에서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처럼 청소년 영상제작활동이 각 학교 및 관련 시설 및 단체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상제작 활동의 효과성을 입증한 사례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학교생활 및 인권을 주제로 한 영상제작활동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어 영상제작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도움을 주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시내 두 개 중학교에서 교사평점 척도 및 교사 추천으로 이루어진 학교부적응 청소년 20명씩을 각각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하여 실험집단에 영상제작활동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게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력을 사전-사후 검사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변인 중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차이를 보여 이 두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프로그램 후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만족도 및 성과가 긍정적으로 드러나,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영상제작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상제작활동에 대한 효과성을 밝혀 낸 국내에서의 첫 번째 연구라는 점과, 영상제작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력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의 질적결과 분석과 참여자들의 자기평가에서 보았을 때,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력의 긍정적으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 된다. 이는 영상제작활동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내고, 구조화된 과정을 통해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교생활적응력에 영향을 미쳐 학교부적응 현상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에 기여하였음을 밝혀내었다. 이는 학교현장은 물론 청소년 관련 시설 및 단체에서도 부적응 해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