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영어라디오 종사자들의 방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staffs’ perceptions of English radio in Korea

초록/요약

현재 국내에서는 국가 브랜드 홍보, 다문화 사회 형성, 국내거주 외국인을 위한 정보 제공 등의 목적으로 영어방송을 설립 운영 중이다. 그런데 실제로 해당 채널이 수행해야 할 공익적 목적의 내용이나 편성방향이 외부로 잘 드러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활발한 의견교환이 없고 눈여겨볼 검증 과정도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다양한 문화를 전파하고 여러 가치가 공존할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하고 제시를 해야 할 역할을 하는 이 매체의 종사자들이 실제로 양적이나 질적으로 그러한 방향에 잘 부합해 고용이 되어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영어방송, 특히 영어FM의 종사자들의 채널 진입경로, 채널에 대한 인식, 활동 상황 등을 통해 이들이 지녀야 할 사회적 책임과 영어방송이 지녀야 할 사회적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Focus Group을 이용해 현재 국내 영어FM에서 방송진행자로 근무하는 혹은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이들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현장노트, 녹취록, 구두요약을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의 출신 국가가 미국 등 영미권 국가에 치우쳐 있음을 가설로 세우고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국내 영어방송에 대한 한계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이들이 지니고 있는 방송인으로서의 전문성과 국내 영어방송이라는 특수한 채널에 종사하면서 갖추어야 할 사회적 책무의식 등에 대해서도 조사해 해당 미디어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명해본다. 더불어 영어방송의 제작PD의 인터뷰를 통해 방송진행자들의 채용, 관리, 교육 등을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내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 역시 특수 채널 종사자로서 타 미디어 종사자와의 어떤 차별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영어FM은 결국 그것의 종자사들이 지니고 있는 이질적인 배경이나 남다른 전문성 등을 통해 채널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방송의 질과 편성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고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다문화 사회 형성 혹은 국가 브랜드 홍보, 외국인을 위한 오락, 정보 제공 등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채널의 종사자로서의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과연 현재의 국내 영어방송이 공익채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유추해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Today, English broadcasting is being operat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national brand image, for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However, in reality, there is not enough active exchange of ideas or worth noticing verification process of whether the contents of public purposes that the corresponding channel need to perform and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organization are clearly shown to the society or not . The part we should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is if the members of the media who have roles to present diverse cultures to the society and pursue coexistence of these various values are actually well suited to that direction in quantity or quality wise. In this paper, I studied ab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values that workers in English FM broadcasting industry should posses, by looking at entry path to English broadcast, especially English FM channel, awareness and activity situation of the workers.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carried out the research based on interviews, field notes, transcripts and vocal summary of the focus group in which there are people who are currently working as hosts or have experience before. Hypothesis to establish is that most of those interviewees are from English speaki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 would like to derive results through interviews with these people. I would also like to show the limitations for domestic English broadcast thereby may appear. Moreover, by studying about expertise and social consciousness that is to be equipped as broadcasters while engaged in a special channel like domestic English Channel, I will see what effects the media can have on our society.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English program producers, how host recruitment, management and training are being conducted and what type of differences they have as they work for a special channel compared to other media workers will be also seen. Overall, because of its workers’ different background and unique qualification, domestic English FM can form a certain image of the channel and decide programs’ quality and organizing direction. This research will look at some aspects of this and also see whether the employees are qualifi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of forming multicultural society, promoting national brand image, and providing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for foreign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nally, I would lik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infer whether or not our current domestic broadcasting is performing its role well as a public channe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