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어사 관련 성취 기준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Reflection of Accomplishment Standards Regarding History of Korean Language to Textbooks -Focus o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of 2009 Edition Curriculum

초록/요약

본고는 중학교 단계에서 국어사 교육, 특히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교육이 꼭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이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반영 양상에 따라 필요한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국어사 관련 성취 기준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할 것인데, 이는 바뀐 교과서 체계와도 관련하여 시급한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교육과정 차원에서 국어사 관련 성취기준들이 어떤 내용 요소들로 제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중학교 단계의 국어사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차원의 문제는 없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 성취기준들이 16종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양상을 비교하고,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논의될 만한 사항들이 생기지 않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내용은, 국어사 관련 성취기준들이 어느 정도의 범위와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그리고 종적, 횡적으로 국어과의 다른 성취기준들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등이었다. 이를 살펴보며 교육과정 상에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가 있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를 제안했다. 교과서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내용은, 국어사 관련 성취기준이 포함된 단원의 다른 성취기준과의 통합 양상, 그리고 단원 구성의 체계, 교과서에 구현된 내용 요소들의 폭과 깊이, 국어사 관련 내용들의 학년 간 연계성이 교과서 차원에서 보완된 예 등이다. 이를 분석하면서 동시에, 교육과정 또는 교과서의 물리적인 여건상 국어사와 관련한 내용을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에 부합되도록, 그리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가르치기 어려운 여건이라면, 이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 방법은 없는지, 여러 출판사들의 교과서를 살펴보면서 답을 찾아보았다.

more

초록/요약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istor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Hun-min-jung-eum is necessary in middle school, this study aims to see how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reflect related contents and add necessary propos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its reflection.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how much of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regarding history of Korean language is reflected to 2009 edition middle school textbooks. This is an urgent task since it also relates to the structure of newly revised textbook system.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by what contents accomplishment standards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are suggested, and closely studied if there is any problem regarding middle school level curriculum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lso, it compared how such accomplishment standards are reflected to 16 different kinds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and studied if there was anything disputable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curriculum into textbooks. What was mainly studied in the curriculum were by what extent and level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re suggested, how they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terconnected with other accomplish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etc. By looking into these, it suggested what problems there are if there are any wrongs in curriculum, and how they can be resolved. What was mainly studied in textbooks were combination of chapters including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ith other accomplishment standards, system of chapter composition, variety and depth of the textbook contents, and examples of the correlation among different grade-level Korean language contents supplemented in textbooks.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se figures, I got answers to whether there is any alternative in contents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at fits the needs of learners by researching textbooks by numbers of publishers if there is not an adequate environment for systemic education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