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 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과잉활성화, 정서 비활성화, 외로움 및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Rejection Sensitivity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hyperactivation, emotional deactivation, loneliness, and internalized sham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rejection sensitivity. This study proposed that insecure adult attachment, shame, emotional regulation in terms of emotional hyperactivation and deactiviation and loneliness will be risk factors for rejection sensitivity. Results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N= 394)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to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20.0.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rejection sensi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hyperactivation, loneliness and internalized shame. The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on rejection sensitivity was mediated by emotional deactivation and internalized sham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rejection deactivation have separate pathways. Findings indicated that loneliness, emotion hyper-activation, and internalized sham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rejection sensitivity. Findings fill the gap in research regarding rejection-sensitivity and its risk factors.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discusse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심리적인 부적응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거절민감성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들은 거절민감성과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의 관련성은 많이 다루었으나 거절민감성의 원인요인이나 구체적으로 어떤 심리적인 과정을 거쳐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20-30대의 초기 성인기 남, 녀를 대상으로 성인 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외로움, 정서 과잉활성화 및 정서 비활성화, 내면화된 수치심을 포함한 정서 및 인지적 요인이 매개하는지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애착 불안은 외로움, 정서 과잉활성화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애착 불안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애착 회피는 외로움, 정서 비활성화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애착 불안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애착 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 거절민감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로를 조정한 대안 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애착 불안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를 삭제한 대안 모형1과 애착 불안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를 삭제한 대안 모형2를 연구모형과 비교하였다. 모형비교 결과 본 연구의 가설적 경로 구조 모형이 가장 좋은 적합도와 설명력을 보여 최종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불안정 성인애착, 외로움, 정서 과잉활성화,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한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모두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구체적인 경로가 다른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 및 심리 치료적으로 거절민감성의 감소를 위하여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의 경향성에 따라 각기 다른 개입 방향을 설정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후속 연구에서 성인 애착과 부정적인 정서 혹은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 사이를 매개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과 함께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