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 연구 : 지구화 시대 한 유교인의 창조적 유교 해석
A Study on Confucian Humanism of Tu Wei-ming
- 주제(키워드) Tu Wei-ming , Confucianism , Confucian humanism ,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 , religion , world religions , religious tradition , faith , religiosity , spirituality , pluralistic modernities , globalization , selfhood as a transformative process , unity of man and human , anthropocosmic vision , symbol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종구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63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지구화 시대를 살아가는 한 사람의 유교인인 뚜웨이밍이 자신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해석하여 재구성한 유교적 휴머니즘을 연구함으로써 오늘날에도 유교인에 의하여 유교적 신앙이 지속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에도 유교가 종교적 전통으로서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앙의 표현이 지속되는 한, 종교는 그 생명력을 잃지 않으며 살아 있는 종교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은 유교의 생명력을 지속시키기 위해 뚜웨이밍이 제시해 온 비전이 드러나도록 만드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의 기본적인 전제는 신앙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는 사실과 그러한 표현은인간성(특수성, 오류 가능성, 역사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인간의 응답이기 때문에 현세적(mundane)일 뿐만 아니라 현세적이어야만 하고 계속적으로 다양하게 변천하는 것, 곧 현실적인(real) 것이라는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제언이었다. 이 논문은 종교에 대한 개념사적 고찰을 통해 물상화(reification)된 종교 개념을 비판하고 축적적 전통과 신앙이라는 대안적 개념을 통해 인류의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바라볼 것을 요구했던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관점에 입각하여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을 유교라는 축적적 전통을 구성하는 신앙의 표현으로서 바라보았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유교인은 60년대 후반 이래 현재까지도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유학자, 뚜웨이밍이다. 그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수많은 저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강연을 해 온 저명한 유학자이다. 그는 주로 대학이라는 제도를 기반으로 학계에서 연구자이자 교수로서 활동해 왔기 때문에 우리는 뚜웨이밍이라는 학자의 이미지에 익숙하다. 하지만 이 논문은 그가 단순히 직업적인 연구자가 아니라 한 사람의 신앙인이기도 하며 그의 학문이 단순히 세속적 학문이 아니라 그의 신앙이 지적인 형태로 표현된 종교적 학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그의 신앙이 지적으로 정교화되어 표현된 형태로서 유교라는 종교적 전통의 축적적 전통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기도 하며 다음 세대의 유교인들의 신앙의 근거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신앙과 축적적 전통의 연쇄적 창출이라는 이러한 관점은 우리로 하여금 종교를 지속적 창조(continuous creation)의 과정으로서 바라보도록 유도한다. 이 논문은 유교의 지속적 창조라는 관점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뚜웨이밍이라는 한 유교인의 신앙의 표현에 주목한다. 그의 신앙의 표현은 유교라는 기존의 축적적 전통이 그의 인격에 영향을 주어 새롭게 형성되어 표현된 것이며 그 자신의 신앙이 표현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뚜웨이밍이라는 인물의 고유한 신앙의 표현을 통해서 신앙의 표현으로서의 유교가 현재까지도 창조적으로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20-21세기를 살아가는 뚜웨이밍이라는 한 유교인이 시도하는 유교의 창조적 계승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지구화라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논문은 근대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적 시스템으로서의 기능 시스템(function system)에 관한 이론과 지구화론을 참고하여 뚜웨이밍과 같은 현대 유교인이 처한 다소 특수한 사회적 위치를 설명한다. 지구화가 진행됨에 따라 형성된 근대 사회의 특성은 현대 사회가 분화된 기능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19세기 말-20세기 초 중국 사회가 근대화되면서 중국의 지식인들은 특별히 유교 전통을 종교라는 분화된 기능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당시 새롭게 형성되었던 새로운 유형의 유교인들, 뚜웨이밍이 속한 현대신유가 그룹의 1세대에 해당하는 유교인들 또한 유교가 종교라는 범주에 속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종교라는 범주를 거부하는 이러한 경향은 이후 유교의 종교성을 인정하는 2세대 현대신유가에 의해 서서히 극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세대 현대신유가는 유교를 다른 종교를 능가하는 최고의 종교로 설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그들은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인식에 이르지는 못했다. 그러나 현대신유가 3세대의 대표주자, 뚜웨이밍은 종교 다원주의자로서 유교를 다양한 다른 종교적 전통들과 같은 범주에 두고 사고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연구는 그가 다원적 근대성에 대한 인식적 확장과 심화된 의식을 바탕으로 종교에 대한 이전 세대의 부정적 정향을 극복하고 나아가 종교라는 지구화된 개념을 더욱 풍부하고 역동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해왔다고 평가한다.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그가 유교의 풍부한 종교적, 영성적 자원에 활기를 불어넣은 결과물이며 그 자신의 신앙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는 유교적 휴머니즘의 분명한 특징이 공동체적인 실천과 천에 대한 감응을 통해 인간 상황을 창조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는 신앙에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신앙은 전통적으로 유교의 핵심적인 개념들로 표현되어 왔으며 뚜웨이밍에게도 이어지고 있다. 뚜웨이밍은 이러한 신앙을 표현하는 유교의 핵심적인 관념들에 내재한 긴장과 역동성을 드러내는 데 역점을 둠으로써 유교적 전통을 활력적으로 만들고자 한다. 그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자아, 공동체, 자연, 천이라는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데 이 네 가지 차원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차원으로서 유교의 핵심적인 관념들은 모두 이 네 가지 차원 속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 네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뚜웨이밍이 중시하는 유교의 주요 개념들을 검토함으로써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을 전체적으로 조망한다. 결론적으로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유교의 생명력을 향한 뚜웨이밍의 몇 가지 비전을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비전은 지구화 시대, 인간이 되기 위한 학습이라는 유교의 핵심적 가치관을 대화라는 관계 맺음을 통해 발휘하는 것이다. 특별히 뚜웨이밍은 유교를 비롯한 다양한 축의 시대의 종교적 전통들이 종교 간의 대화를 통해 서로 간의 영성적 지평을 넓혀 주고 자기를 재정의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둘째, 뚜웨이밍은 유교의 상징적 개념들을 재해석함으로써 유교의 상징체계를 되살리고자 한다. 그에게 유교는 해석을 기다리는 역동적 상징체계인 것이다. 셋째, 유교는 공적 지식인을 양성하는 전통이어야 한다. 유교인들이 공동체적이고 비판적인 자의식을 지녀야 하며 사회에서 공적 지식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뚜웨이밍에 의하면 그것은 유교가 생명력을 지속시키는 근본적인 방식이어 왔다. 지속적인 창조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 뚜웨이밍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하나의 종교적 휴머니즘으로서 자아의 변화 가능성과 그러한 가능성의 원천으로서의 천에 대한 그의 신앙의 표현이다. 비록 그가 제안하는 유교적 휴머니즘이 현대 사회에서 종교라는 분화된 기능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그의 신앙의 표현이 지적인 표현에 집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의 신앙의 표현은 유교를 생명력을 지닌 종교적 전통으로 지속하게 만드는 원동력임에 틀림없다. 어떤 의미에서 그의 유교적 휴머니즘은 학문과 종교의 경계를 넘나드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도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신앙의 지적 표현과 학문적 체계화를 통해서 건설된 학문적 종교, 종교적 학문이 자리할 공간이 창출된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그의 목소리는 지구화를 형성하는 대화 속에서 울리고 있으며 인문학의 영역에서도 그리고 동시에 종교의 영역에서도 울리고 있다고 본다. 이 목소리의 진정한 의도는 인문학과 종교의 범주를 확장시킴으로써 다원적 근대성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인간과 자연에 대한 파괴적인 성향을 드러내는 서구적 근대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보인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scertain that the Confucian faith has been represented consistently up to present-day by a Confucian through researching on the Confucian humanism of Tu Wei-ming who has reconstructed Confucianism by creative interpretation of his own tradition. This means that nowadays Confucianism continues as a religious tradition. A religion continues with vitality as a living religion in so far as its expression of faith persists. This dissertation also intends to make clear Tu Wei-ming’s vision for the vitality of Confucianism. The basic premise of this dissertation is the fact that faith is expressed in diverse patterns that can not be free from humanity(particularity, fallibility, historicity) and that not only are but also ought to be mundane because of their property as a human response, which have varied and continue to vary, which is the proper way of saying what is real. This is the proposal of Wilfred Cantwell Smith. This dissertation views Tu Wei-ming’s Confucian humanism as the extension of the cumulative tradition of Confucianism as the expression of faith,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Wilfred Cantwell Smith who criticized the reified concept of religion demanding modern intellectuals to reconsider the diverse religious traditions of mankind through the alternative concepts of cumulative tradition and faith. Tu Wei-ming is a Confucian scholar who is working actively from the late-60th to these days. He is a well-known Confucian scholar for his prolific writing on Confucianism, having lectured around the world as an eminent Confucian scholar. He mostly works in the groves of academe as a researcher and professor so that we are familiar only with his image as a scholar. This dissertation, however, emphasizes that he is not only a professional researcher but also a man of deep faith in that his work is not a mere secular study but a religious learning. In other words, his Confucian humanism is a form of expression elaborated through his faith and might be a factor for constructing a religious tradition of Confucianism as the ground of faith for the next generations of Confucians. This perspective, emphasizing the creation of faith and cumulative tradition occurring in succession, leads us to see a religious tradition as a process of continuous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ous creation, this dissertation pays attention to the faith of Tu Wei-ming, a Confucian who is living at the present-day. His expression of faith is a new expression formed by the influence of established Confucian tradition through his own faith. We can ascertain that Confucianism as the expression of faith continues creatively up to nowadays through the unique expression of the figure of Tu Wei-ming.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in approaching Tu Wei-ming’s attempt as a Confucian of 20th-21th century to creative transmission. This research explains the specific social positions of contemporary Confucians, including Tu Wei-ming,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globalization and function systems as basic structures of global modern society. A feature of modern society formed by proceeding globalization is that contemporary society is composed of differentiated function systems. But when Chinese society started its modernization in late 19th-early 20th century, Chinese intellectuals had refused to reconstruct especially the Confucian tradition as a differentiated function system. At that tim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new type of Confucians or Contemporary New Confucians formed newly, which is to include Tu Wei-ming in its third generation, also had not wanted to place Confucianism under the category of religion. Since then, this trend of refusal to the category of religion had been overcome gradually by the second generation of New Confucians those recognized the religiosity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the second generation of New Confucians did not reach an awareness of religious pluralism in that they regarded Confucianism as the highest religion. But Tu Wei-ming as a religious pluralist, a representative of New Confucians’ third generation, considers Confucianism as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other religious traditions. In this sense, this research evaluates his contribution for overcoming the previous generation’s negative orientation toward the category of religion, making rich and dynamic the globalized concept of religion further. Tu Wei-ming''s Confucian humanism is the result of his rejuvenation of the plentiful religious and spiritual resources of Confucianism through his own expression of faith. He says that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Confucian humanism is in its faith in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our human condition as a communal act and as a dialogical response to Heaven. This kind of faith has been expressed in core concepts of Confucianism and continued to Tu Wei-ming. Tu intends to focus on representing the tension and dynamics implied in the core ideas of Confucianism, enabling Confucianism to animate properly. The Confucian humanism of Tu comprises of four dimensions - self, community, nature, and Heaven(Tian, 天), these interrelated four dimensions containing Confucian core ideas that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erefore, focusing on the four dimensions, this research takes a view of Tu''s Confucian humanism overall through examining the Confucian meaningful concepts highlighted by him. In conclusion, Tu''s Confucian humanism shows us some of his vision for the vitality of Confucianism. First, it is manifest that learning to be human, which is the core value of Confucianism, is achieved by the mode of relationship of dialogue. Especially, he expects that diverse religious traditions of the Axial age, including Confucianism, will expand their spiritual horizon and redefine themselves through mutual dialogues. Second, Tu intends to reanimate Confucian symbolism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symbolic concepts of Confucianism. To him, Confucianism is a dynamic symbolism that awaits creative interpretation. Third, Confucianism ought to cultivate public intellectuals. It is proper that Confucians should have a communal critical self-consciousness and play the role of public intellectual in society. According to Tu, that is the fundamental way to continue the vitality of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ous creation, Confucian humanism of Tu, as a religious humanism, is his expression of faith in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of self and in Heaven as the source of the potential. Although Confucian humanism, as he suggests, is not included in a function system of religion and his expression of faith being concentrated in intellectual expression, it is certain that his expression of faith is a driving force that makes Confucianism as a religious tradition with vitality. In a sense, Tu’s Confucian humanism may be a model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academy and religion and it is possible that there is some area of academic religion or religious learning that might be created by the expression and articulation of faith. This dissertation pays attention to the voice of Tu Wei-ming resonating in dialogues for developing globalization and in the areas of the humanities and religion. The true intention of this voice might b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western modernity, which reveal destructive tendency toward humanity and nature, through the diversification and fertilization of the categories of the humanities and relig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