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을 매개로
- 주제(키워드) "장애아동 부모" , "낙관성" ,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 "대처행동" , "삶의 만족도" ,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optimism ,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 coping behavior ,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윤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62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대처행동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광주, 충북,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장애아동 94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직접 또는 교사와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배포 · 회수하였다. 이 중 90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총 69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자아 강화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과 대안모형들을 설정한 후 적합도 확인을 통하여 최종모형을 채택하였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 강화적 대처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어머니와 아버지 집단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적 성향이 높을수록,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은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mediate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coping behavior.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of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were distributed or collected by the researcher directly or with the help from teachers or therapists to parents of 948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jeon, Gwangju, Chungbuk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Of these, 9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69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program and AMOS 19.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done to look into the mediated effect of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self-strengthening coping. Research models and alternative models were set,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through a test of goodness of fit and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group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or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Self-strengthening coping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had a double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Also,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oth mothers and fathers.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optimistic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the more proactive coping behaviors ar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is. Also, it can be seen that optimism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and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positive perception of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indirec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