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역사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서울A공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Problems the vocational students are feeling on the history class and come up with improvement plan --Based on an A technical high school in Seoul

초록/요약

인문계 고등학교와 더불어 교육의 큰 축을 담당하는 전문계 고등학교는 현재 학생들의 기초 학력 부족, 교사들의 열의 부족, 인문계위주의 국가 교육 정책, 전문기술직에 대한 사회의 천시 등의 이유로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더욱이 본래의 전문기술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계 고등학교는 현재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등교육기관의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이에 인문계 고등학교와 차이 없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계 고등학교의 총체적인 위기 속에 전문계 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또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느끼는 역사 수업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서울의 A공업고등학교에서 진행되는 역사 수업을 참관하고 설문조사를 실행하었다. 설문지는 첫째로 전문계 고등학교에 관한 인식조사, 둘째로 역사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셋째로 역사 수업에 대한 요구조사의 세가지로 구성하었다. 이와 같은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역사 수업을 계획했다. 이는 기존의 교과서와 세 가지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교과서의 전근대사에서 현대까지에 이르는 범위를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하여 그 범위를 축소하었다. 둘째, 다양한 체험학습을 포함하여 수업안을 구성하었다. 셋째, 주제별로 수업안을 구성하었다. 하지만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17차시 수업계획안을 실행하기에는 현재 교육과정과 법적인 제도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는 현재 전공계열과 학과의 지나친 세분화로 전공과목이 아닌 다른 과목과의 연계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둘째, 역사교과편성의 불균형과 비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으로 역사교과가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집중이수제’의 영향으로 학생들은 일년이나 되는 방대한 양의 역사 단위를 한 학기에 모두 배우고 있었고 이에 학생들은 역사 과목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셋째,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권 및 운영능력 부족으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수업계획안이 교사의 자율 아래에서 진행되기 어렵다. 넷째, 역사 수업의 이론 위주의 교육 과정 편성과 현장성이 부족한 교육과정의 한계점이 있다. 국가에서 정해진 교육과정 안에서 짜여진 교과서의 골격 그대로 수업을 진행해야하는 표면적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은 교과서 이외의 다른 교육과정을 학습할 수 없다. 이러한 4가지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하고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역사 수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2가지 방안이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비전문교과목과 역사교과목을 연계 운영해야 한다 둘째, 역사 수업과정 자율 운영 전문계 고등학교를 확대해야 한다. 교육과정 자율 전문계 고등학교는 학생들의 능력이나 적성, 요구 등을 교육과정에 많이 반영할 수 있게 해야한다. 특히 역사 수업은 집중이수제의 최대의 피해자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자리를 잃어버리고 있다. 방대한 양의 단원을 한 학기에 배우기 때문에 학생들은 역사에 다가가기도 전에 역사 과목에 대한 거부감을 먼저 느끼고 있다. 교과목을 교사의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면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꼭 필요로 하는 단원을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역사 수업에 대한 문제는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하지만 그 연구가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신인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논의 뿐이다.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역사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를 이어, 전문계 고등학교로 그 관점을 발전시켜 연구했다. 이러한 시도가 전문계 고등학교의 역사 수업에 보다 나은 발판이 되길 기대해본다.

more

초록/요약

The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are very important axis of education together with general high schools are facing severe crisis due to students'' lack of basic education, the lack of enthusiasm of the teachers, the nation''s liberal arts-oriented education policy, the neglect of society welcomed for the vocational professionals. Moreover, students of the schools are aiming to attend higher educations, which originally should be being taught with vocational skills at the school, have no difference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s. Also the direction of history class is not being set due to this overall crisi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onsequently, this research is based on an A technical high school in Seoul by observation and survey research at this school to study what problems the students are feeling on the history class and come up with improvement plan. Questionnaire are consisted of, firstly, perception survey of vocational schools, secondly, perception survey of history class, thirdly, request survey of history class. History class was planned for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his has 3 different perspectiv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xt books. Firstly, a scope was narrowed to contemporary and modern history, which previously had a scope from pre-modern age to contemporary history. Secondly, configured a class plan including a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Thirdly, configured class plans based on subjects. However, the class plan of the 17th phase as an improvement plan has some issues in terms of current curriculum and the legal system. Firstly, the vocational schools have difficulty to be linked to other subjects due to excessive fragmentation of the majors and departments. Secondly, the imbalance of the history curriculum organized and abnormal history curriculum cause problematic class running. In particular, the impact of the completion system to deliver the class to students, which needs a year to be taught the history of the vast amount history contents into a semester that cause reluctance on the subject of history. Thirdly, the proposed class plan is not likely to be managed by teachers’ own direction due to lack of autonomy and ability to conduct the focused school curriculum at schools. Fourthly,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urriculum of history class which is being taught theory-driven curriculum and lack of practices. Students are not able to study other curriculum besides the textbook given which government authorities defined curriculum. There should be 3 measures to overcome the 4 limitations described above and manage the history class effectively. Firstly, the localization should be in place. The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to revise objective, contents and evaluation of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situation at schools. Secondly, the non-vocational related curriculum needs to be associated with history class. Thirdly, it has to expand the autonomy of history clas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 vocational high school having autonomous curriculum has to reflect ability, aptitude and request of the students. Especially the history class is the victims of the maximum completion program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t loses its ground. The students are feeling reluctance on the history subject before approaching it due to vast amount of contents which normally are delivered in a year. If a teacher can decide which curriculum to be taught, so that only required curriculum can be delivered friendly to the students. The issue of history class at vocational high schools has been steadily raised. However releva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ly for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are the predecessor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research has been developing the perspective which is along with past discussion on issue and improvement plan of the history class at the technical high schools. All such measures can be a ground to go step forward to develop the history clas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