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쓰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구어성 교육 내용 연구

초록/요약

기존의 쓰기 교육에서는 쓰기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구어성이 대부분 학습자의 오류로 지적되었고, 교정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쓰기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전형적인 쓰기 텍스트와 다르게 구어성을 띠는 쓰기 텍스트가 생기게 되었고, 구어성은 텍스트의 전달 효과를 높이는 쓰기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쓰기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구어성은 쓰기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하여 재조명되어야 할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이 따라 본고는 전형적인 쓰기 텍스트의 생성만을 다루던 교육에서 나아가, 쓰기의 외연을 확장하고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구어성을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구어성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달리 하여 ‘텍스트 단위의 접근’, ‘사회구성주의적 글쓰기’, ‘표현 의도에 따른 표현 방식 강조’, ‘언어의 효과성 추구 전략과 규범 교육과의 양립’의 네 가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를 선정하고 교육 내용을 설계함으로써, 이전에는 인정받지 못했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구어성의 가치와 교육 실현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구어성을 활용한 텍스트는 맥락 요소의 고려를 통하여 언어 형식을 선택함으로써 텍스트가 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다고 보고, 맥락 요소와 언어 형식에 따라 자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규범의 오류가 구어성이 가질 수 있는 효과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의도적인 장치가 아니라면 구어성을 나타내는 비규범적인 언어 형식은 교정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의 생성에 있어서 맥락이 중요한데, 필자와 독자의 심리적인 거리감을 좁히고 친밀함을 높이고자 할 때 구어성을 띠는 언어 형식들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어성이 나타나지 않아도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텍스트에 구어성이 활용된 자료를 통하여 구어성이 쓰기 전략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법성, 적절성, 효과성의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 층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와 기존 교육과정에서 구어성의 교육 내용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여,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지식 ? 기능 ? 태도 범주에 따라 교육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구어성 교육의 목표인 ‘하나의 텍스트가 필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어성을 활용하여 글을 쓴다.’를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구어성이 쓰기 과정에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한 교육 방안으로 ‘쓰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구어성에 대한 교육’과 ‘쓰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구어성의 표현에 대한 교육’의 두 차원에서 교수 ? 학습의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비록 적은 사례를 분석하여 이루어졌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쓰기 현상에 대하여 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다루었다는 점과, 그 동안에는 오류 또는 교정의 대상으로만 보아왔던 점에 대해 새로운 관점과 교육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학생들의 실제 언어 경험을 잘 드러내는, 그리고 학생들의 언어 경험이 많이 이루어지는 텍스트에서부터 목적과 맥락을 고려하여 필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쓰기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나아가 다른 전형적인 쓰기 텍스트를 생산함에 있어서도 학생들이 원리를 적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쓰기 텍스트에서 구어성이 나타나는 것은 텍스트의 목적과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텍스트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언어 형식을 사용한 쓰기 결과물이다. 그런데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피교육자들의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용주, 1986)’이라고 할 때, 구어성에 대한 연구는 쓰기 영역 외의 국어 교육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의 연구가 쓰기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구어성을 연구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쓰기 영역의 교육을 다루었지만, 연구를 더 발전시킨다면 문법 교육, 매체언어 교육과의 통합적 교육으로의 방향성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 ‘화법과 작문’이 생겼다는 점을 볼 때, 화법 교육과 작문 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더욱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고의 관점이 앞으로 더 확장된 쓰기의 외연을 마련하고, 학습자들의 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 교육으로 나아가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existing writing education pointed out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s as error the learners make and expected it to be corrected. However, this study considered that even colloquialism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delivering texts because colloquial texts that are different from typical texts have been appearing due to the change of writing circumstances. Thus,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reinvented in order to extend the extension of writ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alized the need for education that is more than typical writing text, and researched colloquialism in the need for education that reflects learners'' daily language and expands the extension of writing. This study differentiated view on colloquialism and suggested four new perspectives, ''approaching from text unit'', ''writing with social constructivism'', ''emphasis on expression mod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intention'', and ''coexistence of strategy for the pursuit of linguistic effectiveness and norm education''. Also, by selecting the principle of education contents construction and designing education contents, I tried to look for the value of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s and the potential of its education. I assumed that colloquial texts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exts function by considering contexts and selecting language format, and analyzed data according to context type and language format.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ungrammatical language format that signifies colloquialism becomes the object of correction unless it is intended since error in the model can decrease the efficacy colloquialism can have. Also, context is important when producing text. I found that colloquial language format appears a lot when writers intend to narrow down psychological distance and increase friendliness with readers. Lastly, I could figure out that colloquialism can be used as a writing strategy by utilizing it in texts that can serve its role without colloquialism. Based on the result of such data analysis, I set the layer of grammaticality,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in education contents construction. Then I selected contents to be reflected to the construction of colloquial education contents from th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suggested educ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ducation contents construction and categories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In order to accomplish one of the colloquial education''s purposes, ''utilize colloquialism in writing to let one text to efficiently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writer'', colloquialism should be able to be utilized as a strategy in the writing process. For the education plan for this, I suggested examples of teaching method and study, ''education on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 and ''education on the expression of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 Although this study is composed of limited number of examples, it is significant that it deals with general writing phenomenon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s new perspective and educational direction regarding what has been considered as the object of correction. Also, if writing education covers from texts in which most students'' linguistic experience happen to what efficiently expresses writers'' intention considering the purpose and context, it would be possible to help students apply principles when producing other typical writing texts. The fact that colloquialism appears in writing texts is the outcome of the intentional use of linguistic format that considers texts'' purpose and various context and assists texts to perform its function. When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oosting the educatee''s Korean language usage ability (Lee, Yongju, 1986)'', research on colloquialism should positively aff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other than just writing area. This research fundamentally deals with education of writing area because it only studies colloquialism in writing texts. However, it could expand even to integrated education with grammar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education if it is further developed.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a high school elective course ''speaking and writing'' now,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the connectivity of speech and writing education. Such perspective of this research will expand extension of writing and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to increase Korean language capabi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