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체육진흥법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의 인식 조사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초록/요약

It is "the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that has a goal which allows students to get a balanced body and mind by deciding required facts for invigorating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such as building up students` sports activities and promoting athletic clubs at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is situation, this paper tries to analyze a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with background variables as surveying a degree of recognition by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to the a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llected from 403 physical education teachers(14.4% of total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with Scheffe Post-hoc test. The followings are main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Mo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98.8%, n=389) correct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is Act. However,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 Act.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setting, 78.2% (n=315) responded ‘possibly’, while 10.7% (n=43) said ‘impossible.’ Eleven percent of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would not know.’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multilateral discussions are needed among the various educational stake holders(e.g., educational governing bodies, parents and teachers).

more

초록/요약

학생의 체육활동 강화 및 학교운동부 육성 등 학교체육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학생들이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마련된 학교체육진흥법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의 인식 여부를 조사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여부와 인식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학교체육진흥법의 전반적인 이해정도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교육청 관내에 소재한 중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체육교사 2,786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이중 약 14.4%인 403명의 설문 결과에 대한 실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검증, 그리고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체육진흥법의 인식 여부를 살펴 본 결과 대부분의 중등학교 체육교사(398명, 98.8%)가 학교체육진흥법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체육진흥법의 학교현장 정착 가능 여부를 살펴 본 결과 ‘정착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315명(78.2%), ‘정착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43명(10.7%), ‘잘 모른다.’는 의견이 45명(11.2%)으로 나타났다. 학교체육진흥법 시행 이전에 학교현장에 적합한 시행령이 제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운영주체 간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