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성향이 대인 매체의 적합성 인식 및 활용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학생과 직장인의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페이스북 이용도 , 외로움 , 기능적 대체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13
- 학위수여년월 201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954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매체 간 기능적 대체 가능성 개념을 토대로 진행된 기존의 연구들의 후속 연구로 진행되었다. 기존 연구들의 목적은 기존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오늘날 페이스북을 포함한 소셜미디어와 같이 새로이 등장하는 매체 사이 발생하는 대체와 보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새로운 미디어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페이스북의 이용 정도와 더불어 개인적 성향인 외로움과 연령 및 직업 등의 요인들을 토대로 면대면, 페이스북, 음성전화, 문자/카카오톡, 카페/블로그, 이메일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대한 사용자의 적합성 인식과 활용 양태를 비교하였다.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페이스북 이용자 중 20·30대 학생과 직장인의 설문 답변을 Paired-T 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를 보면 페이스북의 이용도가 높은 집단은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주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페이스북과 관련하여 외로움의 높고 낮음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매체의 기능적 대체와 관련해서는 연령과 직업의 의한 영향이 아직까지 유효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i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meta-researches“ based on the idea of functional interchangeability among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Face-to-Face and digital media. The purpose of those studies investigate how replacement or supplement is occurred between exist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and newly developed media, such as social media including Facebook in present time. In order to deepen the effect of the new media, the present research compared the user’s suitability perception and using pattern of the interpersonal media, Face-to-Face, Facebook, Phone, SMS/kakaoTalk, Cafe/Blog, and Email, based on not only personal dispositions including age, occupation, loneliness, as well as intensity of Facebook use.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ere conducted on 351 samples of 20’s ∼ 30’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based on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Seoul in Korea. Paired t-test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 indicated that the group of high intensity of Facebook use showed bigger difference in the suitability percep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topic.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loneliness groups in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Facebook. In relation to the functional interchangeability of media, the factors of age and occupation were still effectiv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