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저널리즘의 재현양식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연구 : TV뉴스에서 활용되는 감시영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of Journalism and Technology: Analysis of Surveillance Footage in Television News

초록/요약

극적인 사건사고의 순간을 포착한 감시영상은 각종 범죄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생생한 뉴스에도 큰 기여를 하면서 감시영상을 이용한 TV뉴스보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TV뉴스에서 감시영상이 어떻게 보도되고 현실 재현 특성은 어떠한 지 SBS, KBS, MBC 등 저녁종합뉴스 3곳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감시영상은 사회 분야의 범죄, 사건사고 등을 중심으로 방송되어 뉴스의 주요 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었다. 보도 형식에 있어서 타블로이드 스타일 편집과 폭력과 범죄 장면의 보여주기 위주의 선정적인 보도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현실 재현 특성은 다수의 감시영상이 편집을 통해 재구성되고 각종 디지털영상효과와 시간흐름 조작 기법이 이용된, 즉 뉴스제작자가 보여주고자 하는 장면과 순간을 재구성한 작위적이고 과매개적인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리얼리티의 강화를 위해 CCTV 장면 하나하나를 묘사하는 방식으로 기사와 영상을 일치시키는 기법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감시영상의 문제점을 감시라는 권력관계와 기술이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 그리고 영상 저널리즘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TV뉴스에서 최근 관찰되는 보도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를 해명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지상파 보도가 자료화면으로 활용하고 있는 감시영상(CCTV, 블랙박스로 촬영된 화면)이 연구의 관심대상이다. 이러한 현상의 등장이 기술적 요인뿐 아니라 방송사 조직의 관행과 기자의 저널리즘 실천, 나아가 사회적 변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가설이다. 따라서 방송뉴스에서 활용되는 감시영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의 관련성을 해명하며 앞으로의 방송 저널리즘에 대한 모습을 추측해 봄으로써 사회와 미디어, 그리고 저널리즘의 관계를 그려보는 것이 연구가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바이다. 연구대상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TV뉴스가 활용해 온 재현방식에 대한 기술적 발전을 사회의 변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검토한다. 또한 CCTV와 블랙박스 같은 감시기술의 등장을 낳은 사회적 맥락을 살펴 본 후 이것들이 저널리즘의 실천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 알아본다. 나아가 저널리즘의 변화를 추동한 사회적 변화가 어떻게 다시 저널리즘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본 후 이러한 관계성을 최종적으로 한국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즉, 최근까지 일정 기간 동안 지상파 보도에서 활용된 감시영상 자료를 수집, 분류하여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밝힌 여러 논의들의 적용가능성을 한국사회의 맥락에 맞게 따져볼 것이다. 이 연구는 단지 미디어 메시지로서 방송된 내용 그 자체라는 현상에서 출발하기는 했지만 궁극적으로 그 메시지를 구성하는 사회와 미디어의 관계의 실마리를 탐색한다. 그럼으로써 저널리즘의 전통적 개념인 사실성과 미디어 테크놀로지 그리고 감시라는 기제를 작동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모든 논의는 한국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구성된 것이라는 가설적 주장에 힘을 더하기 위한 작은 시도로서 수행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urveillance videos, captured by CCTV and black box camera technology, were used and represented the reality in TV news, with significantly increasing use in TV news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capturing dramatic news events and moments. The 23 items of 8 days’ news of three major terrestial TV station, SBS, KBS and MBC, were analysed. The videos frequently showed cruel crime scene and car accidents, trying to show the violent videos per se, were sensational. The mode of reality representation was hypermediated, rather than immediated, by using editing and digital visual effects, time shifting. Furthermore, the accordance of story and video and the appearance of a reporter on videos were used to reinforce the reality and the credibility. While most research on television examines its impact on viewers, this study asks instead how TV influences what is in front of the camera, and how it reshapes other institutions as it broadcasts their activities. Also this study shows how televised activities tend to become more institutionally important, tightly managed, dramatic, simplified and fitted to society's dominant values through surveillance technology. Powerful institutions, like the police, harness television for their own legitimation and surveillance purposes, often dictating which situations are televised, and usually producing 'authorized definitions' of the situations, which allow them to control the consequences. While these institutions invoke the notion that "seeing is believing" to reinforce their positions of domin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representation in TV news and powerful optical technology like CCTV and black box camera technolo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