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 : 이직의사, 직무성과, 가정생활 만족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Workers : Turnover intention, Job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Family Life
- 주제(키워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 이직의사 , 직무성과 , 가정생활 만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김진욱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81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일-가정 갈등 문제를 해소하기위해 도입된 가족친화 제도의 저조한 시행 및 이용률의 원인을 조직 내 기업문화로 봤으며,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이직의사, 직무성과, 가정생활 만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2년 4월 12일부터 5월 16일까지 약 4주간 총 28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이직의사는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일수록 감소하였고, 경영진의 지원이 높고, 가족친화 제도를 사용하는데 경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낮고, 조직에서 요구하는 시간이 적을수록 근로자의 이직의사는 감소했다. 둘째,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일수록 근로자의 직무성과 및 가정생활 만족은 높았으며, 특히 근로자에 대한 경영진의 지원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출산휴가제도는 근로자의 이직의사를 감소시켰지만, 직무성과와 가정생활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족친화 제도가 확인되지 않아 별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성과에는 자녀교육지원제도가, 가정생활 만족에는 배우자출산휴가제도가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가족친화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주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가족친화 제도 중 여섯 개인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도, 육아휴직제도, 배우자출산휴가제도, 자녀교육지원제도, 가족간호휴가제도, 자기개발지원제도의 도입 및 이용률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 비해 제도의 도입 및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가족친화 제도 도입에 미온적이던 기업의 태도가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일수록 근로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실증분석으로 밝혔으며, 특히 기혼근로자들에게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대부분 모성보호 및 가족지원과 관련된 가족친화 제도 이용률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미혼근로자들의 회사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근로자뿐만 아니라 조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가족친화적인 조직의 기업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결혼여부 및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효과적인 가족친화 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more초록/요약
With a view to grasping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workers' intention of job transfer, their job performance, and their satisfaction on family life, this study assumed the internal corporate culture is the root cause, explaining why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is less introduced and accepted by companies, even though it was introduced to relieve the conflicts between work and home imposing huge burden on both female and male work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ose who work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4 weeks from April 12nd to May 16th, 288 people in total responded to questionnaires in a self-administrative survey. The conclusions proven by prac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aid workers had low turnover intention if they were exposed to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Their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when the management showed higher support, when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had less negative impact on job career or promotion, and when an organization required less working hours. Second, workers of company showing off family friendly culture had higher satisfaction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family life. The higher support the management showed, the more positive impact it had. Third, 'the paternity leave system' reduced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However, it's not confirmed what type of family-friendly system directly had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job performance and family life, so we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separately. The research result proved 'the system to support children educ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paternity leave system' had considerably positive influence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s the study to analyze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while other studies put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family-friendly schemes. Along with this, I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6 major systems among family-friendly scheme; 'the system to reduce working hours for infant care', 'child-care leave', 'paternity leave', 'the system to support children education', 'family nursing care leave', and 'the system to support self-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e family-friendly system had been accepted and utilized by more companies, proving the attitude of company was lukewarm initially but it has been changing. It's proven by practical analysis that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has positive influence on workers, particularly, it put higher impact on married workers. Usually I address, in this paper, the rate of using family-friendly systems related to maternity protection and family-supporting programs.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relevant discussion and debate are required on the factors to have positive impact on unmarried workers' life at workplace. In conclusion, the result of study requires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to be put in place in our society as it has positive impact on not only workers but also organizations. Additionally, effective 'family-friendly scheme' and various supports are needed by all workers regardless of age and marriage, so that the family-oriented culture could take deep roots in our society. Also, follow-up researches are necessary on this contex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