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倪錄 환상담의 담론 체계 연구
A study on discourse system of 'Chunyerok' fantasy
- 주제(키워드) 환상(fantasy) , 망설임(hesitation) , 약호(cod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송효섭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73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天倪錄' 환상담에 나타난 환상의 성격을 통해 담화에서 환상이 갖는 이야기의 속성을 밝히고, 담화의 구성 체계로부터 약호를 탐색하여 󰡔천예록󰡕 환상담의 담론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여기서 ‘환상담’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이야기의 유형은 환상에 대한 토도로프의 논의를 배경으로 하고, 환상을 괴이(uncanny)와 경이(marvelous)사이에서 일어나는 불안한 경계 지점에서 지적되는 요소를 근간으로 하여 텍스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담화에서 환상은 처음부터 인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일상적 존재가 초월적 존재와의 만남을 계기로 하여 서사체의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일상적 존재는 ‘현실로부터 일탈’을 지각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환상의 개념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들어 정의하였다. 첫째는, 일상적 존재가 경험 세계를 벗어난 낯선 대상을 만나야 하고, 그러한 만남에서부터 사건의 논란이 벌어져야 한다. 둘째는 인물이 현실원칙을 벗어난 초월적인 대상(세계)을 보고 그가 현실과 비현실 사이에서 망설임을 지각해야 한다. 첫 번째 사항은 기이나 괴이에서도 해당되지만, 두 번째로 인물이 지각하는 망설임은 ‘환상’을 드러내는 지표로서 작용하여 환상적인 것을 구별하게 만든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천예록󰡕 환상담을 구성하고 있는 담화의 체계와 그 유형을 기술하였다. 환상 사건이라고 해서 이를 경험하는 주체마다 모두 망설임을 겪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망설임을 조성하는 환상의 핵심은 비현실적인 경험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물들의 시선’이나 ‘담론적 저자의 가치 판단’에서 추론할 수 있다. 즉 환상 사건에서의 망설임은 비현실을 경험하는 주체가 대상 세계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의미를 결정 하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인식 주체의 내적 갈등은 망설임의 발로(發露)로서 이러한 주체의 반응을 나타내는 담화적 표현을 찾아 환상성을 확인하였다. '천예록' 소재 환상담의 서사 구조는 초월적 존재가 일상적 존재에게 ‘앎’을 전달하는 ‘지식 전달’의 구조로 규명하고, 이것으로부터 담화 구조의 큰 틀로 삼는다. 이러한 서사 구조의 특징은 인식 주체에게 ‘믿는 다는 것’의 기준을 마련해 준다. 즉 ‘믿음’과 ‘앎’의 관계에서 믿는 다는 것은 대상에 대하여 알고 있기 때문에 이를 현실 원칙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현실 세계의 법칙밖에 모르는 일상적 존재에게 대상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은 이를 믿지 못하고 의심하게 만드는 단초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믿는 것’과 ‘의심하는 것’을 기준으로 담화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이러한 유형 분류를 토대로 3장에서는 인물과 담론적 저자의 소통 양상이 약호화의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유형1은 ‘인물이 의심하고 담론적 저자가 믿는 이야기’로 여기서 사건부와 해석부를 지배하는 약호들은 담론적 저자의 약호 체계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인물은 사건부에서 벌어지는 메시지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담론적 저자는 이를 수용하여 ‘믿을 수 있고,’ ‘현실 가능한 일’이라고 해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유형2에서는 ‘인물이 믿고 담론적 저자가 의심하는 이야기’가 여기에 속한다. 이때, 인물은 담화에서 일어난 경험 세계의 일들을 수용하고 받아들이기 위해 사건부에서 지배하는 약호를 따르고 있다. 반면 담론적 저자는 해석부의 약호를 따르면서 사건부의 내용을 수용하지 못하고 의심한다. 말하자면, 사건부와 해석부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약호의 해석이 각각 다른 약호의 지배를 받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형3은 인물과 담론적 저자 모두 ‘의심하는 이야기’다. 이는 사건부와 해석부의 ‘약호’가 동일한 유형1과 달리, 약호를 해석한 ‘인식’의 태도가 동일한 것이다. 인물이 사건부의 의미를 지배하는 약호를 따라 사건의 내용을 알고는 있지만 이를 수용할 수 없는 것처럼, 담론적 저자도 환상 사건에 대해 의심하고 있으며, 이를 다른 약호로 해석한다. 말하자면 인물과 담론적 저자는 환상적인 것들에 대하여 알고는 있지만 이를 수용하지 않고자 한다. '천예록'은 사건부의 내용과 해석부의 논평이 종합하여 최종적인 의미를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텍스트에서 메시지를 둘러싼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는 새롭게 정의 내릴 수 있다. 한편 캐스린 흄은 ‘작가-작품-독자’와의 상호 연결망에 주목하면서 세계-1과 세계-2는 각각 작가와 독자를 둘러싸고 있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세계 간의 소통이 어떻게 가능하며, 담화의 의미 생산에 어떠한 약호가 작용하는가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바르트의 다섯 가지 약호의 개념을 빌어 텍스트에 펼쳐진 다양한 약호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약호들이 의미 생산에 모두 관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종적인 해석을 지배하는 보다 강한 약호를 파악하여 텍스트가 지향하는 가치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약호의 탐색은 텍스트를 둘러싼 다른 담론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텍스트에서 의미를 전달하고 생산하는데 그러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된 기반이 바로 약호로부터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그러한 공통의 기반을 해석자의 자의적인 판단이 아니라 텍스트에서 의미를 생산하는데 관여하는 규칙, 즉 약호를 통해 환상이 갖는 궁극적인 의미를 밝히고자 노력했다. 따라서 4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되었던 텍스트의 구조와 약호의 분석을 종합하여 󰡔천예록󰡕에서 환상담이 갖는 담론적 의미를 분석한다. '천예록'의 환상담은 환상이 일어나는 내용에서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형식 자체가 지닌 구조로 부터 반성적인 세계관을 내포한다고 보았다. 텍스트 구조에서 뮈토스와 로고스가 교차하는 지점은 세계관의 형성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곧, 미완결성(未完結性)의 세계관이라고 보았다. 이는 전쟁과 재앙 및 질병으로 인해 벌어지는 이상(異常)현상들 때문에, 현실 세계에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로고스의 담론은 약화 될 수밖에 없다는 점과, 이러한 맥락에서 환상은 뮈토스적 이거나 로고스적인 것의 확신이 어렵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결국 뮈토스적 세계관에 의해서 현실 세계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그 영역이 확산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천예록'환상담의 서사 구조에서는 일상적 존재와 초월적 존재가 ‘앎’을 매개로 하여 관계 맺는다. 결국 자아의 세계와 타자의 세계가 소통하면서 환상은 자아와 타자의 고정된 영역을 허물고, ‘관계적 균형’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유교적 질서가 해이해졌을 시기에 다른 종교적 담론이 개입하였다는 맥락에서 환상은 이단시 되었던 종교 간의 ‘화해’를 시도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천예록'의 환상담은 자신으로부터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기억하게 해주는 ‘자기커뮤니케이션(autocommunication)'의 형태를 띤다. 이는 일종의 자신에게 전달하는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를 통해 담화에서 메시지를 소통하는 것은 결국 타자가 중심인 세계를 ’나‘의 내부 세계로 편입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이질적인 것을 다시 자신의 세계로 수용하여 최초의 ‘나’의 내부 세계를 역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렇듯 󰡔천예록󰡕소재 환상담은 특별한 약호화의 방식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는데, 자기커뮤니케이션은 당대의 담론적 질서를 바로 잡고 자아의 현실 개선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환상은 일종의 ‘가짜 현실’이다. ‘개인적 환상’은 개인의 욕망이나 추구하는 대상을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사회적 환상’은 그 사회 구성원이 바라보고 싶은 ‘가짜 현실’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천예록'의 환상은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였던 유교적 담론에서 분명 이질적이며 낯선 것이다, 당대의 성리학적 위기는 로고스의 약화를 야기시키며, 궁극적으로 환상의 ‘망설임’은 혼란한 시대의 분위기에서 텍스트의 수신자가 현실을 다르게 보도록 ‘기능’하기도 한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define properties of the story, which has fantasy in discours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in 'Chunyerok' and to reveal the meanings of the discourse in ‘Chunyerok' by inquiring into the code from discourse structure system. In this study, the type of story that can be classified as 'fantasy discourse' derives from the Todorov‘s perspective of fantasy and it studies the contents of the text on the basis of fantasy which is pointed out as an uneasy condition between uncanny and marvelous. The fantasy in discourse cannot be recognized at the first time. The narrative changes when ordinary being meets transcendal being. It is at this time when ordinary being recognizes 'deviance from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fantasy with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First, ordinary being must meet the subject who is deviant from the experienced world, and the story should start from that meeting. Second, the character has to perceive a hesit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unreality when he sees the transcendal subject (world) that ignores reality principles. The first one can be included in uncanny and marvelous, but the second one which includes the being's perception of hesitation makes the fantasy different from others. The second chapter defines the discourse structure and the type of ‘Chunyerok'. Not all the subjects in fantasy experiences the hesitation. This infers that the core of fantasy that constructs hesitation is not through the unrealistic experience but through ‘the characters' point of view’ or ‘the discourse'writer's value judgment’. In other words, the hesitation in fantasy story depends on how the subject experiencing unreality chooses the meaning. The narration structure of ‘Chunyerok' is based on 'knowledge conveyance', which is transcendal being conveying 'knowledge' to ordinary being. The feature of this kind of narration structure gives the perceiving subject the criteria of 'believing something'. That is,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belief' and 'knowledge', as believing something means the being already recognizes the subject, he can accept it from the realistic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there's no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for the ordinary being who only knows rules of the reality makes him not believe but doubt. In this sense, this study classifies three kinds of discourse type depending on 'believing' and 'doubting'. The third chapter introduces the fact that the way of code determin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discourse'writer. Type 1,'the character doubting but the discourse'writer believing story', shows the code used in the story part and the commentary part, is equal to the discourse'writer's code structure. Therefore, the character doesn't understand the message of the story part but the discourse'writer understands it and 'believes' it is possible in reality. Type 2,'the character believing but discourse'writer doubting story', is when the character follows the story part code to accept the things that happened in the experienced world. The discourse'writer, however, doubts about the story following the the commentary part‘s code. In other words, the interpretation of the code understood by the two in the story part and the commentary part, is different respectively. Finally, type 3 is 'doubting story' by both of them. What makes difference between the type 1 and 3 is that type 1 has the same 'code' in he the story part and the commentary part, while type 3 has the sam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interpretation of code. Like the character not 'accepting' the code deciding the meaning of the story even though he 'knows' it, the discourse'writer also doubts about it and interprets it in a different way. In short, both the character and the discourse'writer know(understand) fantasy things but don't want to accept them. ‘Chunyerok' delivers final meaning synthesizing the story part content and comments on the commentary part to the readers. This kind of text form can define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dealing with the message. Meanwhile, kathryn Hume defined World-1 and World-2 are the concepts surrounding the writer and the reader respectively, paying attention to the connection among ‘writer-story-reader'. This study tries to find how this kind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worlds is possible and which code affects when producing the meaning of story. To do so, it examined various codes in the text borrowing Barthes's five concepts of code. The inquiry of code aims to understand the discourse meaning in the text. This is because it is through the code that the interpretation can be made when delivering and produc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rules involved in producing the meaning of the text without any personal judgment, namely, it made great effort to finding the ultimate meaning of the fantasy through code. In chapter 4, therefore, it analyzes the discourse meaning which fantasy has in ‘Chunyerok' putting the structure of text and analysis of code discussed so far together. The fantasy discourse in ‘Chunyerok' considers that not only the fantasy happening in the story but also the structure of the text form itself consists reflexivity world view. In the text structure, the interception of mythos and logos is in progress of forming the world view, which ‘Chunyerok' sees as aㅜ incomplete world view. This comes from two facts, first that logos which is logical and reasonable in reality has to be weakened due to abnormal phenomena resulting from wars, catastrophes, and diseases and second, fantasy is uncertain when put in mythos and logos. At last, the real world has no choice but to destruct the boundary and be diffused by mythical world view. Besides, ordinary being and transcendal being make the relationship by the medium of 'knowledge'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unyerok' fantasy discourse. Eventually, fantasy tears apart the fixed boundary between self and the other as the self-world and the other-world get to communicate, which aims 'balanced relationship'. This can mean fantasy tried to reconciliate among heterodoxies in a sense that there was an intervention of new religion discourse other than Confucianism at the time when Confucianism order became loosen. The fantasy discourse in ‘Chunyerok' meanwhile, takes the form of 'autocommunication', which means checking the message from oneself and letting him remember it. This is a kind of communication form delivering to oneself. Communicating the message in discourse through this is transferring the world without oneself to the one's inner world, which is the world centered by oneself. In other words, it is reconstituting the one's inner world dynamically by absorbing different things into the inner world. As it is said, the fantasy discourse in ‘Chunyerok' delivers messages in the special way of code and this tells that the autocommunication has the will of correcting the contemporary discourse orders and improving one's reality. Fantasy is a sort of 'false reality'. 'Personal fantasy' can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one's desire or pursuit. In the extension of this, 'social fantasy' plays a major role as it is a 'false reality' that members of the society wish to see. The fantasy of ‘Chunyerok' was definitely odd when the Confucian discourse was superior to any other. The crisis of Neo-Confucianism at that time caused the weakness of logos, and ultimately, the 'hesitation' of fantasy in a chaos atmosphere has the 'function' of making the recipient of the text see the reality in a different w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