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강원도 고성지역어의 공시음운론

A Study on Synchronic Phonology of Local Language in Goseong, Gangwon-do

초록/요약

본고의 목적은 강원도 고성지역어의 전반적인 음운목록과 공시적인 음운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여 고성지역어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공시적인 음운현상이란 어간과 어미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음운현상들의 내적 질서와 그 기제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시적인 음운현상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형태소 경계를 삼고, 형태소 경계를 사이에 두고 발생하는 음운현상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2장에서는 고성지역어의 전반적인 음운목록을 설정한다. 음운목록은 음소목록과 운소목록으로 구분하고, 음소목록은 자음목록과 모음목록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음운목록의 확인은 최소대립쌍과 상보적 분포를 이용한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설정한 음운목록을 기반으로 고성지역어의 공시적인 음운현상에 대하여 살펴본다. 음운현상은 네 가지 유형(대치, 탈락, 축약, 첨가)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한다. 3장의 내용을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대치는 평폐쇄음화․경음화․비음화․유음화․어미 ‘-아/어(X)’의 교체․원순모음화․모음순행동화․활음화를 다룬다. 평폐쇄음화와 경음화, 비음화, 유음화는 다른 지역들과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어미 ‘-아/어(X)’의 교체는 주로 어간의 1음절 모음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어간의 음절수가 늘어날수록 어간의 1음절 모음과 상관없이 수의적으로 교체된다. 원순모음화는 어간말 자음이 [+순음성] 자질을 가지면 후행하는 비원순모음 ‘ㅡ’는 원순모음 ‘ㅜ로 교체된다. 활음화는 활용에서만 나타난다. 탈락에서는 자음군단순화․‘ㄹ’ 탈락․‘ㅎ’ 탈락․비음 탈락․활음 탈락을 다룬다. 자음군단순화는 C2가 [+설정성] 자질이면 C2가 탈락하고 C2가 [-설정성] 자질이면 C1이 탈락한다. ‘ㄹ’ 탈락은 C1이 ‘ㄹ’이고 C2가 [+설정성] 자질일 때, ‘ㄹ’이 탈락한다. ‘ㅎ’ 탈락은 어간말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탈락한다. 그리고 비음 탈락은 공시적으로 ‘ㅇ’ 탈락만 가능하다. 활음 탈락에서는 음절 두음이 경구개음일 때, 활음 ‘y’가 필수적으로 탈락하며, 음절 두음이 양순음일 때, 활음 ‘w’가 필수적으로 탈락한다. 축약은 이중모음 축약․격음화를 다룬다. 고성지역어에서 이중모음 축약은 비어두에서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며, 격음화의 경우는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다. 첨가는 활음 첨가를 다룬다. 고성지역어에서 활음 ‘w’ 첨가는 나타나지 않으며, 활음 ‘y’ 첨가의 경우 곡용에서는 어간의 말음절이 ‘∅’이고 조사 ‘-에’가 결합할 때 필수적으로 첨가되며, 활용에서는 수의적으로 첨가된다. 4장 결론은 2장과 3장의 내용을 요약․정리한 뒤 남은 문제들을 제시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description of overall phonological inventory and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local language in Goseong, Gangwon-do and examine the crucial features regarding local language in this region.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refer to the internal mechanisms of the process, which takes place in the integration of the stem and the ending. Therefore, I use ‘morpheme boundary’ as a criteria to judge what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are and focus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which occur between morpheme boundaries. In Chapter 2, the overall phonological inventory of Goseong, Gangwon-do is established. The phonological inventory is subdivided by phoneme inventory and prosodeme inventory. The phoneme inventory is classified by consonant inventory and vowel inventory. Minimal pairs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are used to identify phonological inventory. In Chapter 3, based on the phonological inventory set used in the previous chapter, I examine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of Goseong. The phonological phenomena are divided and categorized into four parts: replacement, deletion, contraction and insertion. These are summarized as following: Replacement deals with neutralization, glottalization, nasalization, lateralization, alternation of ending ‘-a/ə(X)’, round vowelization, vowel progressive assimilation and glide vocalization. Neutralization, glottalization,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show identical patterns compared to other regions. Alternation of ending ‘-a/ə(X)’ is in most cases determined by the first syllable vowel of the stem. However, as the number of syllable of the stem increases, the replacement occurs randomly regardless of the first syllable vowel. In round vowelization, the replacement of the following unrounded vowel /ɨ/ by the rounded vowel /u/ takes place when the stem-final consonant has a [+labial] feature. Glide vocalization occurs only in conjugations. Deletion deals with the following phenomena: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deletion of /l/, deletion of /h/, deletion of nasal sounds and deletion of glides. I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f C2 has [+coronal] feature, C2 is deleted, but if C2 has [-coronal] feature, C1 is deleted. The deletion of /l/ occurs when C1 is /l/, and C2 has [+coronal] feature. The deletion of /h/ occurs when a stem-final /h/ combines with the ending which begins with a vowel. In addition, the deletion of nasal sounds applies to /ŋ/ synchronically. Finally, in the deletion of glides, when the syllable-initial is palatal consonant, glide /y/ obligatorily deleted, but when the syllable-initial is bilabial, glide /w/ deletion is obligatory. Contraction deals with diphthong contraction and aspiration. The local language in Goseong shows frequent diphthong contraction in non-initial, and it display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erning aspir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Insertion deals with the glide insertion. Insertion of glide /w/ does not occur in the local language of the area. In declension, glide /y/ is inserted obligatorily when syllable-final is zero (∅) and combined by postposition ‘-e’. In conjugation, on the other hand, glide /y/ is inserted randomly. In Chapter 4,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 summarize the contents in Chapter 2 and 3 and mention some remaining problem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