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규 텍스트의 탈식민주의적 아이러니 연구 : 자기 방어와 사소화의 기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stcolonial irony in Hwang Dong–Kyu's Text
- 주제(키워드) 탈식민주의 , 정신분석학 , 아이러니 , 텍스트적 강조 , 상호텍스트적 차이 , 자기-소외의 거울단계 , 부정적 오이디푸스단계 , 자기 방어 , 사소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승희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71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글은 황동규 텍스트를 중심으로 문화 식민주의에 의해 결정된 의미를 거부하고 미결정적으로 의미를 해체하는 탈식민주의적 성찰을 살펴보고, 텍스트적 ‘강조’와 상호텍스트적 ‘차이’의 장소에 나타나는 아이러니의 ‘자기 방어’, ‘사소화’의 기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탈식민주의적 아이러니는 피식민지인이 식민주의자의 처벌을 방어해야 하는 제한된 한계상황에서 표면적으로는 자기를 무력한 존재로 비하하지만, 이면에서는 텍스트의 형식을 통해 식민주의의 억압을 사소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전복하는 반언술 행위이다.
more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aims to resist the decisive meaning of Hwang Dong-Kyu’s Text as an idea influenced by cultural colonialism. Rather this dissertation tries to redefine it as a postcolonial introspection which indicates indecisive postponement, and aims to analyze the ‘self defensive’ and ‘trivializing’ function of irony whose phenomenon only shown in topos of textual ‘emphasis’ and intertextual ‘differences’. The postcolonial irony, on the surface, seems to deprecate itself as a powerless being when it comes to the restricted circumstances where the colonized have to avoid the censor done by colonists. However, that is the very behavior of counter-discourse which threatens colonialism by associating their desire to overturn the colonial power with its textual for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