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애착안정성 및 메타양육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other's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Attachment Stability and Meta-Parenting on Parenting Behavio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근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9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애착안정성, 메타양육,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애착안정성과 메타양육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280명을 대상으로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 애착안정성, 메타양육,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안정성과 메타양육이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매개모형을 수립한 후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과 대안모형(완전매개모형, 이중매개모형) 중 어떤 모형이 자료에 적합하면서도 간명한 모형인지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보다 대안모형인 이중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중매개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모형 채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착안정성과 메타양육이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기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애착안정성과 메타양육을 매개로 하여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Attachment Stability, Meta-parenting on the relation between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and Parenting Behavior. For this investigation, 280 schoolers' mothers living in Seoul and Kyung Gi Do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packet containing questions about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Attachment Stability, Meta-parenting, Parenting Behavior.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is study first established a mediation model the Attachment Stability and Meta-parenting will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and Parenting Behavior, and analysed model Fit of Structual Equation Modeling(SEM) to find out which model is more appropriate and parsimonious, the hypothetical model(partial mediation one) or the alternative model(full mediation one, dual mediation one). As a result, this study chose the dual mediation as the final model because it had turned out to be more appropriate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nd full mediation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ttachment Stability and Meta-parenting had a sequently mediate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and Parenting Behavior.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 point that Earl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has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renting Behavio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