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직무환경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of School Teachers and Burnout Syndrome
- 주제(키워드) 소진 , 교사 , 자기효능감 , 자기위로능력 , 조절효과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근영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8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환경으로 인한 소진의 위험을 보호하는 요인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직무환경이 소진을 예측함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Enter방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국의 중·고등학교 교사 211명에게 소진 질문지, 직무환경의 위험요소 질문지, 자기효능감 질문지, 자기위로능력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는 소진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조절변인인 자기효능감, 자기위로능력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는 하위영역별로 도전기회의 부족, 역할갈등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역할모호성 및 업무과다는 소진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모호성이 소진을 예측함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다. 반면 도전기회의 부족 및 역할갈등, 업무과다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 및 자기위로능력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을 조절하는 변인을 탐색함에 있어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을 독립된 변인으로 이해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점과 역할모호성으로 인한 소진을 보호하는 변인인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역할모호성으로 인한 소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및 자기위로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며, 동시에 도전기회의 부족, 역할갈등, 업무과다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찾는 연구가 후속되어진다면 교사소진의 예방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주요어 : 교사, 소진, 직무환경, 역할모호성, 자기효능감, 자기위로능력, 조절효과
more초록/요약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oder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 and self-efficacy which are protective factors for burnout effect and risk of occupational stress. Correlation analysis,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1) risk factors of occupational stress have an effect on burnout and (2) self-efficay and soothing ability have moderating effect on predicting burnout from occupational stress. A random sample of middle school 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were asked to complete burnout questionnaire, occupational stress risk factor test, self-efficacy test, and soothing ability test.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risk factors in occupational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self-efficacy and soothing ability which are mediators negative. Second, risk factors in occupational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dimensions(ex. lack of challenge, role conflict). But, role ambiguity and work overload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burnout. Third, in predicting burnout from role ambiguity, self-efficacy and soothing ability functioned as moderators. Meanwhile, lack of challenge, role conflict, and work overload didn't function as moderators. Overall,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pose risk factors in occupational stres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 confirming self-efficacy and soothing ability risk factors in occupational stress as protective factors of burnout from role ambiguity. Therefore, to protect an individual from a bournout caused by role ambiguity, a program to elevate self-efficacy and soothing ability is needed. If, at the same time, studies finding moderators for lack of challenge, role conflict, and work overload are followed, it will be a valuable information on preventing burnouts of school teachers. Key words : Teacher, Burnout, Occupational stresses, Role ambiguity, Self-efficacy , Soothing ability, Moderating effe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