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과 자존감, 충동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Sociabi 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1년 개발한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가 타당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스마트폰중독과 자존감, 충동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경기 고양 지역의 65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중독 척도 사용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사용에 관한 일반적 사항들을 조사하고 스마트폰중독 진단검사, 자존감 검사, 충동성 검사,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514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는 중독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을 나누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중독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의 자존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이 청소년들에게는 인터넷보다 휴대전화의 용도로 많이 사용 되어 휴대전화중독의 특성을 따랐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집단이 일반사용자 집단보다 충동성이 높았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집단이 일반사용자 집단보다 사회성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는 향후 연구에서 스마트폰 진단척도를 이용하여 청소년들을 중독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으로 나눌 때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과 중독집단에 포함된 학생들을 지도할 때 충동성이 높거나 사회성이 낮을 경우 중독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주어 적절한 교육과 상담을 받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n whether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is valid to us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tion and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soci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50 high school students in Go-yang, Gyoung-gi Province by investigating general status related to using smartphones and completing smartphone addiction tests, self-esteem tests, impulsiveness tests, and sociability test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514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turned out to be valid in distinguishing addicted students from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ifference in level of self-esteem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as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used phone service more than the internet. Third, the addiction group had higher level of impulsiveness than the non-addict group. Fourth, the addiction group showed lower level of sociability.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can be an adequate tool for identifying smartphone addicts among adolescents. Furthermore, it lies in that when guiding smartphone addicted students, this scale helps to verify high level of impulsiveness or low level of sociability. Thus, this scale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mpulse control ability and sociability through proper guidance and counselling in aforementioned mann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