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 7차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the 3rd Grade ; Focusing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새로 개정된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가 문화적인 내용을 소재 면에서 얼마나 다양하게 다루고 있는지,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된 문화교육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재별, 유형별, 배경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개정 전의 교과서와 비교하여 개정 후 교과서가 분석 기준별로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소재별 분석 결과, 교양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 등 특정 소재는 빈번히 쓰인 반면에, 한 번도 다루어지지 않은 소재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언어소재 중 문화적인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로 구 교과서와 신 교과서 모두 동일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화를 소재에 2가지 더 추가하여 문화를 강조하였지만, 문화적인 소재의 비중은 늘지 않았다. 둘째, 문화 유형별 분석 결과로는 정신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였다. 외국어를 배우는 초기인 1학년 때는 행동문화의 비중이 높았지만, 3학년 때는 정신문화의 비중이 높아진 것은 Brooks(1975)의 이론에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학년마다 문화 유형의 비중이 다른 것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중학교 3개년 전체를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통틀어 전체적인 관점에서 문화 유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문화 배경별 분석 결과에서 보편 문화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영미권 문화의 비중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개정전의 교과서와 달라진 점은 기타문화 배경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영어가 국제어로 쓰이는 점을 감안하면 영어문화권 외의 다양한 문화의 제시는 바람직한 현상으로 볼 수 있겠다. 아쉬운 점은 한국 문화의 배경이 다소 줄어든 점과 비교 문화의 비중이 늘지 않은 점이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 개정된 영어 교과서는 문화적인 내용의 소재를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양화하고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빈도나 내용 면에서 개정 전 교과서와 큰 차이가 없었다. 문화적인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소재 면에서 문화에 대한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가지 소재를 좀 더 다양하게 다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학년별로 필수 소재를 교육과정에서 정해주면, 소재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화 배경별로 볼 때 높았던 보편문화 비중을 낮추고 비교문화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비교문화의 제시는 상대방의 문화와 우리 문화를 비교해 보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서 민감하게 문화의 상대성을 인식하고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하였다. 영미문화와 기타문화 배경은 각각 29%와 19%로 개정전보다 비중이 늘었으며,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제시한 점은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각 문화에 대한 개별적인 소개보다는 문화비교학의 측면에서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제시한다면,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적인 편견과 우열에 빠지지 않게 하고 여러 문화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상대적인 문화에 대한 관점을 갖도록 도울 수 있다. 이상으로 문화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볼 때, 중학교 3학년 개정 교과서는 문화적인 내용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제시와는 다르게 개정전보다 다양하고 많은 문화내용이 제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새롭게 바뀐 교과서가 문화적인 내용에 있어 구 교과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점은 매우 아쉽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각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문화 교육 보충자료를 연구하고, 교사 연수 등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문화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in English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English textbooks. As the textbook of the 3rd grade has been changed since 2011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ocused what changed of the new textbooks compared with old textbooks in the cultural contents.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textbooks, three criteria were used. One is based on 19 language materials suggested by national curriculum. Second criterion is the cultural patterns which consist of material, behavioral and spiritual culture. And the last one is cultural background which can be separated like Korean, native English countries’, nonnative English countries’ cultures, comparative between two cultures and universal and common culture. The object of analysis is 7 textbooks among new 15 textbooks and 6 textbooks amoung 14 old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19 language materials suggested by national curriculum were not equally covered in the textbooks. This result was same in old textbooks and new textbooks. Some materials lik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were often used but other materials like country unification or patriotism didn’t show up at all. Secondly, the spiritual culture was highly presented in new textbooks as well as old textbooks. Relatively, the material and behavioral culture were not presented highly. Thirdly, the universal culture was used most with the background in the new textbooks as well as old ones. And native English speaking country was show up secondly as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s. The new textbooks dealt with non-native speaking country as the background much more than the old textbooks. However, the comparative culture was seldom seen even though it helps students raise cultural awareness. In conclusion, the new textbooks were not much changed in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diversity and significance.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ideas to improve and diverse cultural contents in the textbooks. First, the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shown up more frequently. Even though new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cultural materials, it wasn’t reflected in the new textbook. The portion of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bigger than now. Secondly, language materials suggested by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used evenly without discrimination. Thirdly, the universal culture background should be reduced and comparative culture should be increased as its background in the textbooks. This suggestion should be considered to strengthen cultural contents in the textbooks and more emphasized cultural contents would help students to have good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ultura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