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퀴즈를 통해서 본 남녀간 경쟁심의 차이
- 주제(키워드) 장학퀴즈 , 게임 , 자연적 실험 , 경쟁심 , 성별 격차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정민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0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이 치열한 고소득과 고위직 계층은 여전히 남성에 의해 독점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성별 격차 또한 강하게 나타난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노동시장에서의 차이를 여성의 낮은 교육수준과 생산성, 그리고 남성중심의 조직문화와 여성에 대한 편견 및 선입관 등으로 설명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EBS장학퀴즈"의 자연적 실험(natural experiment)환경을 토대로4개 연도의 자료를 수집하여 경쟁적 환경에서의 성과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경쟁심과 위험을 수용하는 남녀간 선호도의 차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여학생의 출연비중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단성학교 학생들의 출연비중이 남녀공학 학생들에 비해 높아 여학생 및 남녀공학 학생들의 위험회피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증 분석 결과, 학교유형에 따른 성적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녀학생간 성별에 따른 성적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여전히 존재하고, 경쟁이 심화되는 환경일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은 경쟁이 심화되는 환경일수록 남학생의 성적은 개선되는 반면 여학생의 성적은 미미한 수준으로 개선되거나 크게 하락하는 성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는 게임방식과 같은 경쟁적 환경의 구성에 따라 비교적 명확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전통적인 사회 관습과 부모, 동료집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more초록/요약
Even though the social status of women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e high level-high paying jobs are still dominated by men, and large gender differences prevail in competitive high-ranking positions. Many of previous studies tried to explain the gender differences in labor market as the result of low productiv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for women, male-oriented corporate cultures, or discriminations at works. In this paper, we observe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competitive environment under natural experiment environment by tracking four-year result of TV quiz show for high school students, "Janghak Quiz", and present experimental evidence in support of preferenc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oward risk and competition. In a result, we observe that the participation rate for girls is lower than that for boys and students in single-sex school has been participating less than students in coeducational school which we confirm that girls and students in coeducational school show risk aversion. The finding from empirical test is that the type of schooling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ward the performance. But it shows that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s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is more meaningful under competitive environment because we observe 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under pressure on the contrary to female students whose performances either were slightly improved or fell sharply. It is observed more precisely depending upon how competitive the environments are - such as whether it is buzzer based or tournament based - and is affected by traditional customs, social learning, and parental or peer-group influen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