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 평생교육으로서의 부모교육 사례연구 : 초등 학부모 대상 에니어그램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aren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in School - With a focus on enneagram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초록/요약

현대 사회의 부모들은 올바른 부모로서의 역할고민과, 자녀와의 관계에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 부모들은 자녀양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등의 배움을 통해 고민과 위기감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어느 시기보다도 사회적으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 정규과정 교육 내용 중에는 들어있지 않은 부모교육은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런 면에서, 부모교육은 평생교육이 되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과 적극적인 뒷받침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으로서 부모교육의 만족도와 교육효과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측면에서, 부모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프로그램 만족도로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방법, 강사, 교육서비스, 교육시설 및 환경, 교육효과에 만족하는가를 다루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적체험 (자기이해, 자녀이해, 부모로서의 자신감, 삶의 만족도, 부모교육에 개한 이해)의 변화를 다루었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 분석과,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회기마다 제출한 소감문을 받았다. 이후 전문가 3인의 언어 평정을 통해 분석한 소감문과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을 병행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범위는 평생교육 기관 중에서 접근성이 좋고 교육비용의 부담이 적은 학교를 평생교육장으로 선택하였다. 조사대상은 강서구에 위치한 두 곳의 초등학교에서, 5회기 참여와 매 회기마다 소감문 제출이 가능한 분들로 50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로는 첫째, 박설미(2007)가 사용한 ‘평생교육 만족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으며 둘째, 성격유형검사지로 이은하(2007) EPDI 검사지를 사용했다. 셋째, 선행연구와 김영복(1999)의 연구를 참고로, 내적체험 변화의 영역을 다섯 영역으로 작성한 소감문과 넷째, Klein 등이 개발한 체험척도로 이은하 (2000)가 사용한 내담자 체험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만족도 부분에서, 참여자들은 교육여건이나 교육방법 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으나, 강사를 포함한 교육내용, 교육효과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교육여건 부분에서는 학교가 평생교육장으로서 가지고 있는 근접성과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설 면이나 교육시간 등의 부분에 대해 적극적으로 재정적인 뒷받침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효과 부분에서는 자기이해, 자녀이해, 부모로서의 자신감, 삶의 만족도, 부모교육에 대한 생각 등의 내적체험 변화가 많이 일어났다. 특히, 자기이해와 자녀이해 부분에서는 높은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삶의 만족도 부분은 높은 수준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more

초록/요약

In modern society, parents worry about their roles as desirable parents and have a sense of crisis regarding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ey try to resolve their worries and sense of crisis by learning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on child upbringing. In that sense, more need for and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is highlighted in society than ever. Not included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s,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an ongoing ba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which makes it natural that parent education should be lifelong education. There is, however, shortage of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and active support for it in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paren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parent education in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satisfaction with a parent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content, method, instructor, educational service,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ffect. Secondly, the study addressed changes to the internal experiences(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children, confidence as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parent education) of program participant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its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program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bmit an essay after each session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essays, which were analyzed by three experts with a verbal rating scal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School was selected as the venue of lifelong education since it has great accessibility and less burden with educational costs. Fifty parents were selected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Gangseo-gu,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five sessions and submit an essay after each session. The following research tools were employed in the study: first, "Questionnaire on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by Park Seol-mi(2007)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Second, EPDI by Lee Eun-ha(2007) was used to examine personality types. Third, an essay format was devised, consisting of five areas of internal experience changes based on some previous studies including Kim Yeong-bok(1999). Finally, the Client Experience Inventory developed by Klein et al. ad used by Lee Eun-ha(2000) was used in the stud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program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show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ditions and methods an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the instructor and educational effects. As for educational conditions, schools received no active financial supports for facilities and educational hours despite their accessibility and low costs as the venue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as for educational effects, many changes took place to their internal experiences including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children, confidence as a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parent education. While there was a high level of changes to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no such changes were observed in life satisfa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