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한국 문화 단원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Cultural Units i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주제(키워드) 영어 교과서 , 한국 문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장기윤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760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우리는 국제 공용어인 영어를 통하여 외국 문화를 이해하고 외국인들과 교류를 하면서 세계화 시대에 한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다. 특히 오늘날 우리가 영어 교육의 열풍에 휩싸여 남녀노소 영어 학습에 몰두하는 동안 외국에서는 한류 열풍이 거세게 불어 왔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한국의 영어 교육이 문화적 차원에서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목적만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영어를 통하여 외국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동시에 우리나라와 우리의 문화를 국제 공용어를 통하여 외국인들에게 소개하고 설명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의 영어 교육은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우리 문화를 영어로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특히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기 시작하는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학생들은 우리 문화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고정관념이나 국수주의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우리 문화를 올바르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공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기 의견을 영어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1955년 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적용되고 있는 2009 개정 7차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영어 과목에서는 우리 문화를 외국인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것을 학습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한국 영어 교육의 현실은 지나친 입시경쟁위주로 영어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는 반면 교육과정에 명시된 한국 문화 관련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선행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교과서의 한국 문화 단원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교과서는 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학습 방향을 좌우하며, 교과서의 내용은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느끼는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등학교 1학년 10종류의 검정 영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 소재와 독해 지문 및 학습 활동의 대화문이나 지문의 서술, 한국 문화 단원의 구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본 연구가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하여 외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취지는 대신 학생들이 우리 문화를 영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한국 문화 단원만을 집중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또한 연구의 주요한 목적과 연계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화를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교과서의 내용이 한국 문화 교육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현실을 직시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영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은 하지만, 한국 문화를 영어로 교육하는 부분에는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 대부분이 우리 문화를 영어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교육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영어 교과서 한국 문화 단원을 분석했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 문화 소재는 다양성이 추구되어야 하겠다. 한국 문화를 설명하는 방식에서는 지나치게 과장된 표현, 비현실적이고 추상적인 표현, 사실을 왜곡하거나 국수주의적인 성향의 표현을 지양해야 하겠다. 그리고 단원 설정의 취지에 부합하는 학습 활동이 연관성 있게 구성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사항들이 한국 문화 단원에서 보완이 된다면, 학생들이 영어로 한국 문화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교과서가 효과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한국 문화에 대하여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한국 문화를 영어로 표현하는 교육 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겠다.
more초록/요약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understand and accept foreign culture through an international language, English. We have to introduce and express Korean culture to foreigners through English at the same time. In this context,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introduce Korean culture to foreigners in English effectively has been constantly presented from the 1955 1st Educational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ultural units i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hat the previous studies weren't concerned about. The reason is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affect the overall direction of lesson and influence students' thoughts. So it analyzes Korean cultural materials, the descriptions of Korean cultural contexts in reading text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and the first grade students to examine the reality of English class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express Korean culture in English. The survey shows that most students have not experienced learning activities to introduce Korean culture in English and that most English classes have not practised lessons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express Korean culture. The overall result shows the following. First, Korean cultural materials must be variously presented in order to broaden students' thought of Korean culture. Second, the descriptions of Korean cultural contexts must reject excessively impractical, ambiguous, and exaggerated expressions. Also nationalistic or distorted expressions must be controled. Last,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must be correlated with the purpose of the unit.
more